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 협력업체에서 근무하는 이모 씨(47)는 매달 카드 결제일이 두렵다. 조선업 자체가 휘청거리는데 협력업체가 직원 월급을 제대로 주기가 쉽지 않다. 2년 전부터 카드에 의지하다 보니 어느새 카드론만 4000만 원 넘게 썼다. 매달 이자와 원금으로 나가는 돈은 약 200만 원. 이 씨는 “주변에 카드 대출을 당겨쓴 사람이 많은데 다들 원리금 막느라 정신이 없다. 조선업 경기가 살아나도 그게 협력업체 일감으로 전달되려면 내년, 후년은 돼야 하니 올해를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서민들이 많이 찾는 카드사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여신 건전성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고 제2금융권을 찾은 서민 가운데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이들이 늘면서 연체율이 상승세다.
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주요 7개 카드사의 3월 말 기준 연체율(대환대출 포함)이 1년 전보다 일제히 올랐다. 우리카드는 이 기간 1.94%에서 2.06%로 2%대에 진입했고 하나카드는 2.23%에서 2.55%로 높아졌다. 급전이 필요해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를 이용했다가 제때 갚지 못한 사람이 늘었다는 얘기다.
노후를 대비해 들어놓은 보험을 깨거나 보험료를 제때 못 내 강제 해지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생보사들이 고객에게 해지·효력상실 환급금으로 27조5400억 원을 돌려줬는데 이는 지난 한 해 보험금 등으로 고객에게 지급한 전체 금액(58조8832억 원)의 46.8%다. 1년 전보다 1.5%포인트 늘었다.
제2금융권 사정은 지방으로 갈수록 안 좋다. 제조업 경기가 꺼지면서 자영업자 연체율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산·경남과 호남 19개 저축은행의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여신 기준)은 2017년 말 평균 5.53%에서 작년 말 6.38%로 뛰었다. 삼호저축은행(10.06%·전주), 스마트저축은행(10.73%·광주), 진주저축은행(11.17%)처럼 부실 비율이 10% 이상인 곳도 많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연체율은 한 번 올라가면 쉽게 내려가지 않는 속성이 있다”며 “특히 지방은 집값 하락으로 담보물 가치도 떨어지고 있어 은행으로 리스크가 전염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경남은행(1.11%), 부산은행(1.43%)의 부실채권비율은 작년 말 1%를 넘어섰다. 시중은행은 이 비율이 1% 미만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