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미국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이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2011년부터 ‘왕좌의 게임’은 세계적인 문화 현상이 됐다. 지난달부터 방영된 시즌8의 1회 미국 시청자 수는 1740만 명. 시즌1 첫 방송(222만 명)의 약 8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드라마의 인기를 ‘광기’, ‘문화 쓰나미’로 표현한다.
전 시즌 통틀어 에피소드 73개로 구성된 ‘왕좌의 게임’은 가상 대륙 ‘웨스테로스’의 7개 가문이 왕좌를 놓고 벌이는 사투와 북쪽 땅에서 부활한 초자연적인 존재 ‘백귀’가 인간을 위협하는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다. 원작은 조지 R R 마틴의 판타지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 단 두 회만을 남겨놓은 드라마의 성공 요인을 분석했다.
1. 비주얼 충격
드라마 한 회가 영화 한 편 제작비와 맞먹는다. 시즌8에서는 회당 1500만 달러(약 178억 원)가 투입됐다. 그래서 두고두고 회자되는 전쟁들로 가득하다. 스타크 가문의 존 스노와 볼튼 가문의 램지 볼튼이 맞붙는 ‘서자 전쟁’은 보병전, 기마전 등 중세시대 전투의 총체를 담았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연상케 하는 자연풍광, 불을 내뿜는 용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성인전용 판타지다운 적나라한 성관계, 피 칠갑 묘사는 기본이다. 근친상간이나 성폭행, 고문도 원작을 충실하게(?) 반영했다.
2. 지독한 현실주의
“왕좌의 게임에는 승리 아니면 죽음뿐”이라는 세르세이 라니스터의 대사는 드라마의 핵심이다.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비열함, 가문을 지킨다는 대의로 포장된 명예욕 등 선(善)을 위한 자리는 없다. 충성스럽지만 우유부단한 에다드 스타크는 참수 당한다. 배신하지 않으면 배제되는 약육강식이 “판타지의 탈을 쓴 현실과 닮았다”는 평이 나오는 이유다.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은 현실 정치에 대해 “‘왕좌의 게임’에 가장 가깝다”고 했다. 난쟁이라는 이유로 가문에서 배척당했지만 화술과 지략으로 무장한 티리온 라니스터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 드라마를 정치적 메시지 전달에 종종 활용한다.
3. 비주류의 서사
“난쟁이라는 것, 그것이 죄입니다”라는 티리온의 말처럼, ‘왕좌의 게임’은 세상의 풍파 속에 성장하는 여성, 장애인 등 약자의 이야기다. 아버지의 죽음을 보며 복수를 꿈꾸거나(아리아 스타크), 강제 혼인을 두 번이나 한 철없는 소녀가 지략가로 변모하고(산사 스타크), 아버지가 ‘미친 왕’이었다는 이유로 멸시받다 ‘용의 어머니’가 된다(대너리스 타르가르옌). 적서 차별로 북쪽 끝에서 장벽을 지키던 존 스노는 북부의 왕으로 추대되며 ‘출신’을 뛰어넘는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약자의 고난과 성장 서사가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고 분석했다.
4. 비틀어진 클리셰
극 중 발리리아 언어 “발라 모굴리스(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죽음의 허무함을 담고 있다. “캐릭터 ‘덕질’은 금물”이라는 말은 불문율이 됐다. 그만큼 탄탄한 서사를 다져온 인물의 비명횡사가 잦다. 가문의 적자 롭 스타크와 그의 어머니, 아내가 배신으로 순식간에 살해되는 ‘피의 결혼식’은 충격 그 자체였다.
시즌1부터 등장한 명대사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는 시즌8에서 현실이 됐다. 한편으로는 인간 연합군과 ‘백귀’ 나이트킹 부대의 혈투가 한 회에 마무리돼 “허무하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시즌6부터 드라마가 소설의 전개를 앞지른 탓에 서사의 헐거움을 꼬집는 팬도 많다. 5일(현지 시간) 방영된 시즌8 4화는 미국 영화 전문 사이트 IMDB에서 시청자들로부터 1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역대 최저점을 기록했다. 매주 금요일 오후 11시 채널 ‘스크린’에서 방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