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9일 경기 지역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들어온 이모 교사는 깜짝 놀랐다. 임모 양(7)이 갑자기 교실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 씨는 나머지 학생 29명에게 자습을 시킨 뒤 임 양을 찾아 나섰다. 이 교사는 임 양이 집에 왔다는 임 양 부모의 전화를 받고서야 교실로 돌아올 수 있었다. 하지만 그때는 수업이 이미 끝난 뒤였다.
수업 중 이상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이 늘어나면서 애로를 호소하는 교사들이 적지 않다. 교육부가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관심군으로 분류된 초등학생은 3만4309명으로, 2016년(2만4648명)보다 39.2% 늘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검사가 필요한 학생들이 30명 학급당 0.84명(2016년)에서 1.14명(2018년) 수준으로 늘어난 셈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이상행동을 제지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학생이 난동을 부리며 수업을 방해해도 자리에서 잠시 일어나게 하거나 구두로 경고하는 데 그친다. 동급생 친구에게 폭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교사는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 사이에 몸을 던져 막는 것 말고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말한다.
초등학생들의 주의가 산만한 것은 성장기 어린이에게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교사들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기에 체벌이나 병원 진료 권유보다는 훈육을 통해 학생들의 과잉 행동을 바로잡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다만 최근 교육부 조사에서 ADHD 검사가 필요한 학생들이 크게 늘어난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교육당국이 적절하게 나서는 것이 학교현장의 혼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선 수업 정상화를 위해 ADHD 학생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도와줄 학교별 전문상담실과 전문상담교사가 더 많이 필요하다. 지난해 전국의 초등학교 6047곳 중 전문상담실이 설치된 곳은 2360곳으로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더욱이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는 각각 365명, 896명에 불과해 상담인력이 크게 부족하다.
무엇보다 특성검사에서 관심군으로 분류된 학생들이 부담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는 게 중요하다. 교사가 병원 진료를 권유해도 대다수 학부모가 이를 거부한다고 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기록이 남을까 봐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관심군 학생들을 병원으로 안내하는 대신에 교육청이 임상심리사를 파견해 학교에서 자체 진단을 받게 한다면 학부모들의 거부감도 줄어들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