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물 설계에 주민의견 더 담아야”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0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마을 만들기’ 학생공모전 수상자들, 졸업후에도 도시재생 적극 활동

도시공감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가 운영하는 서울 용산구 ‘후암가록’의 모습. 도시공감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 제공
도시공감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가 운영하는 서울 용산구 ‘후암가록’의 모습. 도시공감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 제공
‘둥글고 두꺼운 큰 바위가 있던 곳’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한 서울 용산구 후암동에는 청년들이 함께 모이는 특별한 공간이 있다. 음식을 만들고 나눠 먹을 수 있는 ‘후암주방’. 책을 빌리거나 읽고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후암서재’. 영화를 볼 수 있게 대형 스크린을 갖춘 ‘후암거실’. 오래된 동네 주택의 도면과 사진을 전시해 놓은 ‘후암가록’.

이 공간들은 ‘도시공감협동조합 건축사사무소’(도시공감)가 후암동에 자리를 잡은 뒤 해온 ‘집밖으로 나온 공유공간’ 사업들 중 일부다. 도시공감은 올해로 10회를 맞은 서울시 주최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학생공모전)에서 수상한 이준형 씨(34)와 정지혜 씨(37·여) 등 30대 건축가들이 운영하는 건축사사무소다.

이 씨는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한참 진로를 고민하던 3학년 때 교수님의 프로젝트를 돕다가 건축이 신축이나 재건축 같은 것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며 “소수만 이용하는 높은 건물이 아니라 일반 시민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건축을 하고 싶어 공모전에 도전했다”고 말했다.

구로구 가리봉동에서 ‘외국인과 함께하는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1회 학생공모전에서 금상을 받은 그는 2014년 말 도시공감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시작했다. 구로구 개봉3동의 마을회관을 바꾸는 아이디어(동아일보 10월 8일자 A18면 참조)를 냈던 정 씨도 합류했다.

도시공감은 건축사사무소의 이름을 달고 있지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낸 용역을 수주해 설계하는 일반 건축사사무소와는 조금 운영 방식이 다르다. 이들은 설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자주 소통한다. 미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을 추구하기보다는 주민들의 편의성, 효율성을 최대한 고려해 설계한다. 이 씨는 “주방도 최신 유행 스타일이 아니라 주민들 요청에 따라 바닥에 물이 잘 빠지고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는 등 실용성을 최대한 고려했다”고 말했다.

정 씨는 “공모전에 응모할 때는 주민공청회를 통한 의견수렴이 참신한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이제는 주민의 의견을 건축설계에 반영하는 게 당연한 일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공모전 수상 경험이 도시공감을 출범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대학생들의 참신한 생각을 건축에도 더 많이 반영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마을 만들기#학생공모전#도시재생#공공건물 설계#공유공간#도시공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