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산업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스마트폰, 컴퓨터, TV 같은 디바이스가 결합된 구조로 짜여 있습니다. 한국은 스마트폰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 콘텐츠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김영준 한국콘텐츠진흥원장(57)은 국내 콘텐츠 산업을 둘러싼 환경을 이렇게 평가했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은 콘텐츠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정책금융 확충 △선도형 실감 콘텐츠 육성 △신(新)한류로 연관 산업의 성장 견인을 3대 전략으로 발표했다. 콘텐츠진흥원은 이를 최일선에서 구현할 예정이다. 김 원장을 서울 중구 콘텐츠진흥원 사무실에서 24일 만났다.
콘텐츠진흥원은 방송,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작비를 비롯해 홍보 및 금융 컨설팅,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김 원장은 “지난 10년간 콘텐츠 산업에 국고로 3조 원을 쏟아부었지만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콘텐츠 기업의 90%는 영세 기업이다. 단발성 사업을 지원하는 구조로는 기업이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2022년까지 투자 4500억 원, 보증 7400억 원 등 콘텐츠 산업에 1조 원 이상을 추가 공급하기로 한 것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들을 키우기 위해서다.
“아이디어만으로도 투자가 이뤄질 수 있어야 합니다. 또 음악,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야처럼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에는 지분 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나서 기업을 키우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도 이를 인정했다.
“여러 부처가 협력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체질을 개선해 스스로 커 나갈 힘을 길러야 하고요.”
그는 콘텐츠진흥원 차원에서는 개인 창작자에 대한 지원에 집중하고 싶다고 했다.
“콘텐츠의 뿌리는 결국 사람입니다. 인재를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할 겁니다.”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기관의 역량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콘텐츠진흥원은 직원 한 명당 평균 1.8개 사업을 맡고 있습니다. 개인이 각각 사업을 진행하는 구조로는 상호 견제를 하지 못할뿐더러 관리 감독하는 기능도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개인의 역량을 조직적 역량으로 전환시켜 시너지를 내는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
취임 2년을 앞두고 있는 그는 요즘 공공기관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매일 반성하고 있다고 했다.
“공공기관은 담당 사업이 거의 고정돼 있기 때문에 기관장이 새로운 일을 도입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때로 돌파하기 힘든 벽을 만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성과를 국민이 피부로 느끼게 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다시 출발한다는 마음으로 뛸 테니 지켜봐 주십시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