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이 클수록 우리가 해야 할 일을 흔들림 없이 해야 한다.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앞으로 변화가 더 많아질 것이다. 지금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우리의 능력을 200∼300% 발휘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기술 공유 및 협업이 일상적으로 이뤄질 때 우리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 - 최태원 SK그룹 회장
국내 대기업 총수들은 최근 연구개발(R&D)을 통한 미래비전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세계경제 하방 등 각종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기업의 R&D 투자가 멈춰서지 말고 더 속도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지금 어렵다고 R&D 투자를 줄이면, 10년 뒤 20년 뒤 생존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1000대 기업의 R&D 투자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지난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R&D 스코어보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R&D 투자액은 49조7000억 원으로 2017년(46조 원)보다 7.9% 증가했다.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1000대 기업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평균 3.76%씩 증가했다.
R&D 투자는 상위 기업이 주도했다. 상위 100대 기업의 R&D 투자는 42조 원으로 1000대 기업 전체의 85.0%를 차지했다. R&D 투자 1조원 이상인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기아자동차,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 8곳이다. 이들 기업의 R&D 투자는 30조 원으로 1000대 기업 60.4%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로봇, 자동차용 전장사업,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을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로 삼고 과감한 R&D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7년 11월 ‘삼성리서치(Samsung Research)’를 출범하고 산하에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센터를 신설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인 AI 관련 선행연구 기능을 강화했다. 지난해 1월 실리콘밸리에 AI연구센터를 설립한 삼성전자는 그 뒤 5월 영국 케임브리지, 캐나다 토론토, 러시아 모스크바에 잇달아 AI연구센터를 추가 개소하고, 글로벌 우수인재와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 등 미래차 개발과 오픈 R&D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및 전략 투자에 2025년까지 총 41조 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올해 1월 신년사에서 “2019년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시장의 판도를 주도해 나가는 게임체인저로서 새롭게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2021년부터는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차량을 출시하고, 2024년에는 시내 도로주행이 가능한 레벨4 차량을 운송사업자부터 단계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 2025년까지 신차의 절반 수준인 23종의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스위스에 수소전기트럭 1600대를 순차적으로 수출하고,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선박, 열차, 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동력원으로 확대한다.
SK그룹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과 AI등 혁신기술을 핵심 동력으로 보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끌어올리기에 다걸기 하고 있다. SK그룹이 내년 1월 출범을 목표로 한 그룹 차원의 교육 인프라 ‘SK 유니버시티(SK University)’ 설립을 준비하는 것도 혁신기술 역량을 내재화하고 우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기업들의 R&D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적지 않은 산을 넘어야 한다는 게 산업계의 중론이다.
특히 기업들은 경직된 국내 노동시장에서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주 52시간 근로제와 최저임금 정책을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성장률을 높이려면 기업들의 R&D 투자 확대가 필수적인데 이 또한 주 52시간제에 발목이 잡혀 있다는 얘기다.
재계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로제 때문에 기업들이 생산공장은 물론 R&D센터까지 해외로 옮기려 하고 있다”면서 “탄력근로제·선택근로제 확대 등 주 52시간제의 부작용을 해소할 방안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각종 규제 혁신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예컨대 현대자동차의 경우 자동차 제조업체를 넘어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으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상당 부분의 투자가 대부분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한 경제단체 고위관계자는 “자동차·디스플레이·조선·철강·화학 등 기존 주력 산업이 정체 국면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은 신사업 발굴에 목을 매고 있지만 각종 규제로 새로운 사업을 벌이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