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 최초로 4세대 무선통신기술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하고 올해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통신망으로 음성은 물론이고 사진과 영상도 전송할 수 있어 재난이 발생했을 때 빠른 상황 파악과 대처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행정안전부는 롱텀에볼루션(LTE) 기반의 재난안전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올해 1단계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 재난 대응 관련 기관들이 현장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망이다. 이전까지는 각 기관마다 초단파무선통신(VHF) 또는 극초단파무선통신(UHF)을 이용하는 무전기나 KT파워텔 같은 별도 통신망을 활용해왔다.
이번에 새로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은 각 기관들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하게 돼 재난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영상을 다른 기관으로 보내거나 받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은 스마트폰이나 무전기 형태의 단말기를 이용한다. 경찰이나 소방 상황실, 일선 지구대, 소방서 등은 물론이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경찰, 소방관 등 수천 명이 동시에 그룹통화도 할 수 있다. 기존 통신사의 이동기지국 및 상용망과 연동해 전국 어디서든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당시 사고 수습에 참여했던 경찰, 소방 등이 서로 다른 통신망을 쓰면서 구조에 차질을 빚었던 사례의 재발을 막기 위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후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거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사업에는 총 1조5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중부 남부 수도권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진행되는데, 1단계로 대전 세종 강원 충청 지역의 경찰부터 서비스를 사용한다. 내년부터는 전국에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송망을 이중으로 구축해 장애가 발생해도 통신 두절을 막을 수 있다”며 “향후 재난현장의 드론 활용, 사물인터넷 기반 현장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해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