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발생한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수돗물이 흐르는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수계 전환 작업을 지나치게 빨리 진행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와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수도 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전담 조직이 출범했다.
환경부는 3일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별로 유역수도지원센터 4곳이 문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환경부는 인천 붉은 수돗물 사고 원인을 조사하면서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고, 향후 수돗물 사고가 발생할 경우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대응할 전문기관을 설립해 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유역수도지원센터마다 40여 명의 상수도 관리 전문가가 근무한다. 평상시엔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을 받아 수도 계획 수립, 시설 진단, 수계 전환 등 상수도 전반에 걸친 전문 기술을 지원한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엔 지방유역환경청과 함께 지자체에 기술적·인적 지원을 한다. 센터의 전문 인력들이 사고 현장에 투입돼 사고 원인 분석부터 수습까지 전 과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해마다 지자체의 상수도 관련 전문 인력이 줄고 있어 수돗물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문 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대응 기관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상수도 관련 업무 담당자는 2009년 1만4941명에서 2017년 1만3264명으로 11.2% 줄었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인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시군을 대상으로 전문기술을 지원해 지방 상수도 운영을 돕고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