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산화물 등 배출비율 전국 최고
부산항만공사, 전방위로 나서 부두 하역장비 연료 LNG로 바꾸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키로
미세먼지 없는 깨끗한 부산항을 만들기 위해 부산항만공사(BPA)가 전방위로 나선다.
부산은 인천, 울산 등 다른 항만도시에 비해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 비율이 매우 높다. 국립환경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 전체 배출량 가운데 선박의 배출 비율은 인천(8%, 12.4%), 울산(16%, 6.8%), 전남(15.6%, 10.3%)보다 훨씬 높은 38.8%와 70.9%에 이른다.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도 전체 배출량 가운데 선박의 배출 비율이 인천(3.9%, 10.1%), 울산(9.8%, 16.8%), 전남(3.2%, 6.3%)에 비해 높은 15.7%와 38.7%다.
이에 따라 공사는 정부와 공동으로 항만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경유 야드트랙터(YT)를 액화천연가스(LNG) YT로 전환하는 사업을 2015년부터 추진해왔다. 지난해까지 전체 736대의 44.7%인 329대를 LNG로 전환했고, 올해도 12억 원의 예산을 들여 100대를 추가 전환한다.
이를 위해 다음 달 31일까지 부산항의 각 부두 운영사를 대상으로 사업자를 모집한 뒤 4월 확정할 방침이다.
부두 내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하역 장비인 YT는 주 연료로 경유를 사용해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등 유해 배기가스 배출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LNG 전환 시 기존 경유 연료와 비교할 때 미세먼지는 100% 저감되며, 이산화탄소(CO₂)와 질소산화물 발생량도 각각 24%, 9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LNG 전환이 어려운 YT 10대는 최근 개발을 완료한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설치해 운영할 방침이다. 항만 야드화물 이송 장비인 트랜스퍼크레인(TC)용 DPF도 지난해 개발하고 현장 테스트를 거쳐 곧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형 선박 접안 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없애기 위해 최근 국내 항만에서는 처음으로 신항 3, 4부두에 선박육상전원공급시설(AMP)을 설치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올해는 정부와 공동으로 120억 원의 예산을 들여 북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4선석에 추가로 AMP를 설치한다.
부산항 대기질 오염도 측정을 위해 기존에 설치된 북항 감만부두 1곳 외에 추가로 미세먼지, 일산화탄소(CO), 황산화물 등 6개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간이 측정기를 19곳에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 밖에 부산항 항만 안내선 전기선박 도입, 항만구역 내 미세먼지 청소차량 4대 운영, 식재와 조경을 통한 녹색항만 조성 사업도 벌인다. 항만구역 내 건물은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고 냉난방기 및 보일러를 친환경 버너로 교체하도록 유도한다.
11월 말까지는 2억7000만 원의 예산으로 부산항 대기환경 개선 추진 전략 연구용역을 진행해 부산항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대응계획 및 체계도 구축한다.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항만공사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국가 대표 항만인 부산항을 깨끗하고 쾌적한 친환경 녹색항만으로 만들어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항만 근로자의 근로환경을 바꿔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