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파에서 밤늦도록 술 마시며 깨고 또 취했다가./돌아오니 시간은 삼경쯤 된 듯 아이놈 코고는 소리가 우레처럼 요란하다. 아무리 문 두드려도 대답이 없어./지팡이에 기대어 강물 소리 듣는다.(1절)/이 몸조차 내 소유가 아님을 한탄하노니./언제면 아등바등한 이 삶을 잊고 살거나. 밤 깊어 바람 자니 물결마저 잠잠하다. 작은 배 타고서 이곳을 떠나/강호에 여생을 맡기고파라.(2절) (夜飮東坡醒復醉, 歸來彷彿三更. 家童鼻息已雷鳴. 敲門都不應, 倚杖聽江聲. 長恨此身非我有, 何時忘갥營營. 夜싥風靜q紋平. 小舟從此逝, 江海寄餘生.)
정쟁에 휘말려 조정에서 밀려나 후베이(湖北)성 황저우(黃州)로 좌천된 소동파. 자주 인근 동파에 있는 친구 집을 들락거렸다. 친구와 통음하고 이슥한 야밤에 숙소로 돌아왔지만 심부름하는 아이는 벌써 깊은 잠에 곯아 떨어졌다. 드르렁드르렁 아이의 코 고는 소리와 강물 소리의 절묘한 하모니, 문득 팍팍했던 삶의 궤적이 아릿아릿 오버랩되어 펼쳐진다. 온갖 집착과 다툼에 휘둘려 온전히 내가 나인 채로 살아보지 못한 회한, 그게 관리로서의 숙명일 수밖에 없다는 탄식이 절로 나왔을 것이다. 격랑 속에서 애면글면 움켜쥐려 했던 허욕의 굴레에서 벗어나 저리도 잔잔한 강물 위를 작은 배 하나로 유유히 떠돌고 싶었을 것이다. 평소 ‘장자(莊子)’에 심취했던 시인. “내 몸은 내 것이 아니라 천지(자연)가 잠시 내게 맡겨둔 형체일 뿐”이라거나 “자신의 몸과 본성을 온전히 보전하려면 세상사에 아등바등 얽매이지 말라”는 장자의 교훈을 곱씹고 있다.
1, 2절로 된 이 노래는 송대에 번성한 사(詞)라는 운문 장르인데 5·7언 정형시와는 형식이 다르다. ‘임강선’은 곡명으로 형식과 분위기를 나타낼 뿐 제목과는 무관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