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 개선 운동가이자 요리사인 제이미 올리버의 2010년 테드(TED) 강연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 아이들이 첨가물이 들어간 우유를 통해서만 먹는 설탕의 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커다란 손수레에 가득 실린 각설탕을 무대 바닥에 쏟아버리며 말했다. “어느 재판관이라도 이걸 보면 아동학대죄라고 말할 겁니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식탁은 더 예측 불가능하며 가학적인 모습으로 변화 중이다. 강한 매운맛의 마라탕이나 마시멜로와 초콜릿을 햄버거처럼 쌓아올린 스모어 쿠키는 인스타그램에 게시해야 할 ‘잇템’으로 급부상했다. 무엇보다 ‘먹방’을 보며 스마트폰 터치 몇 번으로 어떤 음식이든 30분 만에 주문할 수 있는 세상이다.
가디언과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음식 관련 글을 기고하는 역사가인 저자는 인류가 식량 부족의 시대를 지나 과식과 영양 부족이라는 정반대 상황에 맞닥뜨린 상황을 진단한다. 칼로리는 과도하게 섭취하면서도 오히려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는 부족한, 마치 ‘설탕 범벅의 건강식 단백질 바’ 같은 모순적 현상은 도대체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저자는 풍요 속 빈곤의 역사를 제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에서 찾는다. 전 세계 정부는 많은 양의 식품을 생산하도록 보조금을 지급했고 이는 질보다는 양을 중시하는 유산으로 남았다. 이 보조금의 대부분이 농부들 대신 음식에 설탕과 감미료를 입히는 식품 가공업자들에게 돌아가면서 현재 인류는 어느 때보다 달고 기름지며, 극도로 가공된 식단에 길들여지게 됐다.
식단이 엉망진창이 된 유구한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 인류의 식탁을 구석구석 파고드는 대목에 이르면 누구나 가시방석에 앉은 기분이 들 법하다. 하루의 시작을 물 대신 커피나 탄산음료로 시작하는 습관, 보채는 아이를 달래기 위한 간편한 수단으로 과자를 손에 쥐여주는 부모들, 식재료는 낭비해도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는 태도, 심지어 칼로리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마른 몸을 찬양하는 문화 등 곳곳에서 현대인의 식습관에 일침을 놓으며 이를 둘러싼 문화적 배경도 설명한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한국인의 식습관에 대한 조사다. 엄청난 사회 발전 속도에도 한국은 여전히 비슷한 수준으로 발전한 서구 사회와 비교해 채소의 섭취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는 우리 식탁에 빠지지 않는 김치와 사회적으로 ‘신토불이’를 장려하는 문화 덕분이다. 그러나 이 역시 어디까지나 서구의 평균과 비교한 것일 뿐 한국 역시 비만과 당뇨,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매년 급속도로 늘고 있다.
책장을 덮을 무렵에는 어린 시절 엄마가 정성껏 끓여낸 국 한 그릇과 갓 지은 잡곡밥이 간절해진다. 인류가 함께 겪는 이 공통의 ‘허기’는 무엇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책 말미 저자가 제안한 건강한 식사부터 먼저 실천해 보자. 단백질과 채소를 먼저 먹고 탄수화물을 나중에 먹자. 최대한 유행에 뒤처진 입맛을 갖추고, 귀와 입, 코로 재료를 느껴 보자. 우리가 먹고 있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자.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0-02-29 09:45:30
갓지은 밥, 된장국, 김치 참 건강한 식사라고 생각했는데, 밥은 탄수화물이라고 건강에 해롭다고 하고, 된장은 소금량이 너무 많다고. 김치도 소금이 너무 많다고. 이글에서는 참 좋은 식사라고 하는 데, 다른 학자들은 몸에 해롭다고 하니. 어쩌라고.
2020-02-29 11:13:19
자연적으로 강한 유전자 많이 살아남아야 하나 현대인은 누구나 거의 살아 남는다. 자연이라면 죽어야 할자도 의학이라는 기술이 누구나 살아 남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허약하고 혹독한 환경이 아니라 편안한 환경이다. 편안하면 허약해 지는 거다. 인류가 발전하면 역설적으로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