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계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원 헬스 체계’ 구축-도입해야”
정부는 야생동물 유입 관리 강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에볼라, 신종 인플루엔자…. 이들 질병의 공통점은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병원체가 상호 전파돼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점이다. 사스는 박쥐에서 사향고양이로 옮겨진 바이러스 변종이, 메르스는 박쥐에서 낙타를 거친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역시 박쥐 등에서 유래한 인수공통감염병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경제 손실이 갈수록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사람과 동물,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이른바 ‘원 헬스(One Health)’ 관점의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세기 이후 사람에게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의 72% 이상이 야생동물에서 유래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카, 라사열 바이러스 등 10대 감염병이 모두 인수공통감염병이고, 이런 인수공통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 유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 감염병이 증가하는 이유는 인구증가와 산업화, 육식 소비 증가, 기후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연결돼 있다. 인구가 늘면서 도시 인구 밀집도가 높아졌고, 육식 소비 증가는 대규모 밀집 농가 형태를 낳았다. 산림을 벌채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숲속에 살던 박쥐나 뱀 등이 인간과 접촉할 기회가 늘어났다. 기후변화로 온도와 강수량, 습도가 달라지면 동물들의 서식지나 번식 행태 등에도 변화가 생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정부는 3일 ‘해외 유입 야생동물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향후 해외에서 유입되는 야생동물들은 국내에 들어온 뒤 추적·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간 검역 없이 들여올 수 있었던 양서류와 파충류에 대한 검역 절차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최근 늘고 있지만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야생동물카페 등 소규모 전시·판매 시설에 대한 관리 제도도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야생동물의 거래를 금지하고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세계자연기금(WWF)은 17일 ‘사람과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요구’ 보고서를 내고 “야생동물의 불법 거래를 막고 산림 벌채 등 토지 전환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WWF는 “자연에 대한 지속 불가능한 착취는 우리 모두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라며 “긴급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곧 다음 전염병을 겪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인수공통감염병 발생을 막으려면 자연 파괴를 줄여야 한다는 결론이다. 이후승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박사도 최근 발간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태환경 기반 능동적 감염병 대응 체계 마련 방안’ 보고서에서 “인수공통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원 헬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람과 동물, 자연환경이 모두 생태계에서 연계돼 있으므로 모두에게 최적의 건강을 제공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