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다시 확산돼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화되면서 수도권 소상공인 매출액이 1차 확산 때보다 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늘어난 저축은 앞으로의 소비 회복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최근 소비 동향 점검 및 향후 리스크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9월 첫째 주(8월 31일∼9월 6일) 수도권의 소상공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가 처음 확산됐던 2, 3월 중 매출액이 가장 많이 줄었던 2월 넷째 주(―25.2%)보다 더 큰 감소 폭이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자영업자의 약 41%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데다 9월 들어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가 2.5단계로 상향되면서 영업 제한이 커 2차 확산기 때 소상공인의 타격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전체 민간소비 감소 폭은 1차 확산기 때보다 작았다. 이달 첫째 주 전체 신용카드 사용액(한은 자체 모니터링 기준)은 1년 전보다 8.7% 감소했다. 이는 1차 확산기 당시 감소 폭이 가장 컸던 3월 첫째 주(―15.6%)보다는 작은 수준이다. 숙박·음식, 교육 등 대면서비스와 백화점 등 대형소매점 관련 소비가 크게 줄었지만 온라인 쇼핑과 편의점 소비가 늘면서 소비 감소 폭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면서비스에 대한 소비는 올 7월까지 코로나19로 인한 하락 폭의 45%가량을 회복하는 데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앞으로 민간소비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것으로 전망하면서 소비 위축에 따른 저축 증대가 민간소비를 다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2분기(4∼6월) 가계 평균소득이 1000만 원이 넘는 5분위 가구의 흑자액(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은 340만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1% 증가했다. 앞서 영국과 캐나다의 중앙은행은 고소득층 중심의 비자발적 저축 증대를 향후 민간소비의 상방 요인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2분기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자동차, 가전 등에 대한 지출은 상당 폭 늘었다.
코로나19로 해외여행 등이 줄어들면서 국외소비 위축도 두드러졌다. 올 2분기 전체 소비 감소 폭의 4분의 3이 해외 소비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경우 민간소비 중 국외소비의 비중이 3.9%로 미국(1.5%), 일본(0.6%) 등보다 높다. 국외소비가 위축되면 민간소비 지표도 악화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