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백신 파트너십]
“韓보다 확진-사망자 많은 나라 고려”
미국내 여론에 스와프 등 성사 안돼
“동맹강화 차원 군장병 지원” 분석
미국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군 55만 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지원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기대를 모았던 한미 간 백신 스와프(맞교환)나 기존 계약 물량의 조기 도입은 이뤄지지 않았다.
미국이 포괄적 백신 지원 대신 한국군 ‘핀셋 지원’에 나선 건 자국 내 여론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2일(현지 시간) “가능한 모든 백신 대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백신 스와프가 검토됐다”면서도 “미국 입장에선 한국보다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많은 국가가 적지 않은 전 세계 상황을 고려해야 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동맹 강화와 주한미군 안전을 명분으로 한국군에게 백신을 지원하는 방식이 선택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이 미군과 연합작전을 수행하는 한국군에 대해 책임을 다하는 차원에서 ‘조건 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미국이 외국 군대 전체에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군 지원 백신은 미국에서 승인된 화이자와 모더나, 얀센 가운데 1, 2종류가 될 가능성이 높다. 아직 구체적인 지원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일정이 정해져도 군장병이 맞을 백신이라 상반기(1∼6월) 이후 일반인 접종 계획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정부 안팎에선 백신 추가 확보와 조기 도입을 위해 여러 방안이 거론됐다. 백신 스와프도 그중 하나다. 이번 결과만 놓고 보면 사실상 성과가 없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우리의 모든 ‘위시리스트’를 충족하려는 것은 동맹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외교의 기본도 아니다”라며 “미국으로서는 최선을 다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존 계약 물량의 도입 시기조차 앞당기지 못한 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감염병 전문가는 “지금 국내서 중요한 건 전체 물량이 아니라 접종 시기”라며 “500만, 1000만 회 정도가 조금 일찍 들어온다면 집단 면역 시기가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다만 정부는 위탁생산이 장기적으로 백신 수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국내에서 모더나 백신을 생산해도 도입은 기존 계약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면서도 “(모더나 국내 생산이)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백신 수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 시간) 열린 한미 백신 파트너십 행사에서 “이번 주에 모더나 백신 첫 회분이 (한국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1일 모더나 백신의 사용을 승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