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계, 90년대생 저자들이 온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5월 27일 03시 00분


에세이에서 “나만의 삶” 추구하며 취미-직업 소재로 ‘개성’ 담아
정치사회 분야, 기득권 정면 비판… 90년대생의 눈으로 세상 들춰봐
“개인-집단주의 혼재된 특성”, “사회 경험 통해 객관성 갖춰가”

기성세대의 연구 대상이던 1990년대생들이 자신만의 관점을 담은 다양한 책을 펴내며 출판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에세이를 통해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 한편 기성세대의 기득권을 정면 비판하는 책도 내놓는 식이다.

1990년대생이 쓰는 에세이는 ‘내’가 우선이다. 이달 14일 출간된 등산 에세이 ‘행복의 모양은 삼각형’(동녘)을 쓴 양주연 씨는 1991년생 회사원이다. 스스로 자신의 일이 마음이 들지 않고 생각이 많아 괴로울 때마다 산으로 향하는 자신의 일상을 담았다. 이 책 편집자 박소연 씨도 1995년생. 박 씨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취미생활을 통해 인생의 의미를 찾는 ‘MZ세대’(밀레니얼세대+Z세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직업을 말할 땐 일과 삶의 ‘균형’을 강조한다. 순경 생활을 담은 에세이 ‘90년대생 경찰일기’(원앤원북스)를 15일 펴낸 늘새벽(가명) 씨는 1993년생 여성이다. 3년간의 시험 준비 끝에 2019년 경찰공무원이 됐지만 안정적인 직장이 행복한 삶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걸 깨닫고 글을 썼다. 그는 “사회생활을 경험하면서 직장의 부정적인 면도 알게 됐다”며 “현직 공무원 신분으로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돼 가명을 썼지만 책을 낸 걸 후회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달 22일 1990년생 주부 신귀선 씨가 펴낸 에세이 ‘맥시멀 라이프가 싫어서’(산지니)는 집안 정리를 통해 안정된 삶을 추구하는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한다.

1990년대생 저자들의 글이 마냥 말랑한 것은 아니다. 정치·사회 관련 책에는 날 선 비판이 담겼다. 1994년생 임명묵 씨는 7일 출간한 ‘K를 생각하다’(사이드웨이)에서 1990년대생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며 기성세대의 기득권을 공격한다.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는 1990년생 강남규 씨는 3일 내놓은 ‘지금은 없는 시민’(한겨레출판)에서 여야 정치권의 이기적인 포퓰리즘 행태를 비판한다. 지난달 8일 발간된 ‘프로보커터’(서해문집)의 1992년생 저자 김내훈 씨는 김어준 진중권 등 유명 정치 평론가들이 논리보다 감성에 치우치는 행태를 지적한다.

출판계에선 이들의 신간이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한다. 자신만의 인생을 즐기려는 흐름과 더불어 청년실업이나 부동산값 폭등 등의 사회문제에 대해선 함께 연대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은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세대인 만큼 어떤 길이 옳은지 몰라 갈팡질팡하는 모습이 출판시장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며 “삶의 목적을 찾는 다양한 시도이자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건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말했다.

1990년대생 저자들이 내밀한 이야기를 털어놓는 자기 고백을 넘어 하나의 세대로서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982년생 임홍택 씨가 2018년 출간한 ‘90년생이 온다’(웨일북)와 같은 이전 세대의 분석을 거부하고 1990년대생이 스스로 자신들을 규정하고 있다는 것. 장은수 출판평론가는 “1990년대생이 직장에 진출하는 등 사회 경험을 쌓으면서 객관적인 이야기를 표출하고 있다”며 “스스로를 당당하게 규정하는 세대인 만큼 출판계에서 이들의 행보가 더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이호재 기자 hoho@donga.com
#출판계#90년대생 저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