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는 예부터 ‘유럽의 빵 바구니(bread basket of Europe)’로 불려왔다. 국토 대부분이 ‘검은 흙’(黑土·흑토)을 뜻하는 체르노젬(chernozem)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흑토는 비료가 필요 없을 정도로 영양분이 많아 씨앗만 뿌리면 각종 곡물이 잘 자란다. 우크라이나 흑토지대는 북미 프레리(Prairie), 남미 팜파스(Pampas)와 더불어 세계 3대 곡창으로 유명하다.
소련 수탈 겪은 비극의 역사
현재 전 세계 밀 수출의 10%, 옥수수 수출의 18%를 차지하는 우크라이나는 옛 소련의 식량기지였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국민은 1932~1933년 ‘홀로도모르(Holodomor: 기아에 의한 사망을 의미하는 우크라이나어) 비극을 겪어야 했다. 당시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우크라이나로부터 식량을 징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소련의 식량 부족을 해결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의 독립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의도였다. 붉은 완장을 찬 공산당은 우크라이나 전역을 휩쓸며 식량을 약탈해 갔다. 저항하는 농민은 즉결 처형됐다. 식량을 빼앗긴 농민들은 굶어 죽었다. 이런 사실은 비밀로 은폐돼오다 소련이 붕괴한 이후인 1991년 전모가 드러났다. 유엔 조사에 따르면 당시 아사한 우크라이나인이 700만~1000만 명에 달했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자원부국이다. 철광석(매장량 세계 1위)과 석탄(세계 6위)을 비롯해 망간, 티타늄, 니켈, 흑연 등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원소 주기율표에 나오는 자원이 대거 매장돼 있다. 이 때문에 소련은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 군수 및 중공업 산업단지를 만들었다. 우크라이나의 과학기술이 발전했다는 점도 큰 요인이 됐다. 유대인이 많이 거주했기 때문이다. 소련 시절 군사력 절반이 우크라이나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우크라이나 출신 유대인들은 군수산업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출신 유대인은 소련 시절 차별을 받아야만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우크라이나인과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유대인 700만 명을 집단학살했다. 또 독일과 싸우다 전사한 소련군 1100만 명 가운데 270만 명이 우크라이나에서 징집된 우크라이나인이었다. 우크라이나는 원전 폭발 사고로 엄청난 피해를 입기도 했다. 1986년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130㎞ 떨어진 체르노빌 원전이 폭발해 수만 명이 사망하거나 방사능에 노출됐다.
과거 여러 비극을 겪은 우크라이나가 ‘형제 국가’인 러시아의 침공 위협으로 최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우크라이나는 역사적으로나 민족적으로나 러시아와 같은 뿌리다. 우크라이나의 원조인 키예프 공국은 882년 동슬라브 민족이 세운 첫 나라다. 북부 발트해에서부터 남부 흑해까지 이르는 지역을 통치한 키예프 공국은 기독교를 받아들이며 크게 융성하다 1240년 몽골족 침략으로 멸망했다.
나토 가입 추진, 러시아 안보 위협 간주
키예프 공국 귀족과 백성은 몽골 지배를 피해 모스크바 인근으로 이주한 뒤 1283년 모스크바 공국을 세웠다. 키예프 공국이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러시아, 벨라루스 등 3국의 모태로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모스크바 공국은 이후 제정 러시아를 거쳐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소련)이 됐다. 소련은 1991년 12월 26일 붕괴되고 러시아가 이를 승계했다. 우크라이나는 오랜 기간 폴란드 등의 지배를 받아오다 18세기 제정 러시아의 영토로 편입됐다. 1917년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때 잠시 독립하기는 했으나 1922년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 일원이 됐다. 이후 옛 소련 붕괴 과정에서 빚어진 혼란을 틈타 1991년 8월 24일 독립했다.
현재 러시아 인구의 20%는 우크라이나 국민과 친인척 관계다. 볼셰비키 혁명 주역인 레온 트로츠키 전 소련 외상, 니키타 흐루쇼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 등도 우크라이나 출신이다. 그런데도 우크라이나 동부지역 돈바스(도네츠크와 루간스크주를 부르는 명칭)를 제외하고 국민 대부분은 러시아에 반감을 보여왔다. ‘형님’인 러시아가 ‘동생’인 우크라이나를 핍박하고 사사건건 내정에 간섭해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 정부는 물론이고, 러시아 국민도 우크라이나를 자국 영토로 간주해왔다. 흐루쇼프 전 서기장이 1954년 크림반도 관할권을 우크라이나에 넘긴 것도 형제애의 발로였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종속관계를 단절하고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와 유럽연합(EU) 가입을 추진해왔다. 우크라이나 국민은 독립 이후 러시아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법치 등이 보장되는 서유럽 국가처럼 살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이런 태도를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입장이다. 우크라이나가 나토와 EU에 가입하면 러시아는 말 그대로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상황에 빠지기 때문이다. 러시아 입장에서 볼 때 우크라이나는 벨라루스와 함께 유럽 진출의 관문 역할을 하는 국가다. 특히 러시아는 서방과의 완충지대 격인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할 경우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탄도미사일을 배치하면 러시아 모스크바를 타격하는 데 4~5분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크라이나는 지정학적으로 전략 요충지다. 우크라이나는 지리적으로 동과 서(러시아와 유럽), 남과 북(발트해와 흑해)으로 이어지는 유라시아 대륙 교차로에 위치한다. 유럽인에게는 동방 진출을 위한 길목이었고, 아시아 유목민에겐 유럽 침략의 통로였으며, 부동항이 없는 러시아에겐 흑해와 지중해로 나가는 유일한 출구였다. 실제로 우크라이나는 예부터 유라시아 패권 전쟁의 주요 무대였다. 더욱이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면 옛 소련권 국가들의 안보협의체인 집단안보조약기구(CSTO)를 강화하려는 러시아의 전략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CSTO 회원국은 러시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6개국이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까지 가입시켜 나토에 대항할 수 있는 ‘제2의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만들려는 야심을 보여왔다.
“우크라이나는 소련 부활의 전제조건”
지경학적으로도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중요하다. 러시아의 주요 수출 품목인 천연가스를 유럽으로 수송하려면 우크라이나에 설치된 파이프라인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유럽은 러시아 경제를 먹여살리는 최대 에너지 수출시장이다. 유럽으로 향하는 러시아산 천연가스의 80%는 우크라이나에 설치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돼왔다.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면 유럽 에너지 시장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특히 우크라이나가 EU에 가입하면 옛 소련권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체인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을 확대·강화하려는 러시아 측 구상도 좌초될 수밖에 없다. 러시아는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등 5개국을 한데 묶어 EU에 대응하는 경제공동체 구축 전략을 추진해왔다. EAEU는 그동안 상품, 자본, 노동, 서비스 등의 자유로운 이동을 추구하면서 하나의 경제 동맹체 결성을 목표로 내세웠다. 인구가 4300만 명으로 동유럽에서 가장 많고, 국토 면적(60만3700㎢)이 한반도의 3배에 달하는 데다 농업대국이자 자원부국인 우크라이나가 EAEU에 합류하면 러시아는 옛 소련과 같은 힘을 가질 수 있다.
소련 붕괴를 ‘지정학적 재앙’으로 규정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옛 소련의 완전한 부활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러시아인이 많이 거주하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조지아 등을 다시 러시아에 편입시키려는 의지를 보여왔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말 국영방송 로시야1의 특집 다큐멘터리 ‘러시아, 새로운 역사’에 출연해 “소련의 해체는 러시아 역사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 “러시아 국민과 마찬가지로 나에게도 소련 붕괴는 비극이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국민의 67%가 소련 붕괴를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 말대로 소련 붕괴로 러시아 영토가 17세기 예카테리나 여제 시대 이전 수준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이 옛 소련처럼 ‘강한 러시아’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옛 소련 국가들을 자국 지배권 아래 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국 유명한 전략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전 백악관 국가안보담당 보좌관은 저서 ‘거대한 체스판’에서 “소련 부활은 우크라이나가 그 전제조건이기 때문에 이를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소련을 건국한 블라디미르 레닌이 “우크라이나를 잃으면 러시아는 머리를 잃는다”고 말한 것처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게는 소련 부활을 위한 가장 중요한 디딤돌인 셈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