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선 후보들이 어제 2차 TV토론에서 2030 청년 구애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기존에 내놓은 현금 지원책 및 청년 주택 공급책을 반복해 내놓거나 원론적인 일자리 창출 원칙만 밝혔을 뿐 굵직한 비전이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해법을 둘러싼 깊이 있는 토론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청년 대책을 첫 주제토론으로 정해놓고도 1, 2위 후보가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네거티브 공방으로 귀중한 시간을 흘려보내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불공정 격차가 심각해지고 기회 부족 사회가 돼 청년 고독사가 2배에 이르렀다”며 연 100만 원씩 지원하는 청년기본소득을 비롯해 청년기본주택과 청년기본금융 등 ‘기본 시리즈’를 다시 언급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입시 제도와 취업의 불평등 불공정을 해소하고 청년에게 주거의 기회를 부여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앞서 월 50만 원씩 최장 8개월간 ‘청년도약보장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강성 귀족 노조가 새로운 일자리 만드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고 했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학자금 대출 50%를 탕감해주고 생계비 대출인 ‘햇살론 유스’ 이자를 전액 감면하겠다”고 했다.
그동안 밝힌 부동산 공약도 오십보백보다. 이 후보는 “생애 최초 주택을 구입하는 청년에게는 신규 물량의 30%를 우선 배정하겠다”고 말해 왔다. 윤 후보는 “청년원가주택을 30만 호 공급하겠다”고 했다. 공급 물량을 언제 어디에 어떻게 만들 것인지, 누가 어떤 자격으로 분양을 받도록 하겠다는 건지 구체적인 로드맵은 제시되지 않았다. 재원 대책도 마찬가지다.
전체 유권자의 32%를 차지할 만큼 비중도 높은 2030이 캐스팅보터 세대로 떠오른 지 오래다. 공정 이슈에 민감하고 일자리 문제, 부동산 문제로 좌절을 거듭한 2030 표심이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에 따라 대선 향배가 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후보들이 일회성으로 소비하면 없어지는 ‘용돈’ 공약만 남발하거나 희망고문에 그칠 공산이 큰 부동산 해법을 내놓고 2030을 현혹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서로 젠더 이슈를 활용해 지지율을 높이려는 행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현금 지원이 필요하고 도움이 될 2030도 있겠지만, 교육이나 훈련 등 실질적인 인적 자본 축적과 연계시키는 방안 등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 무엇보다 다수의 청년들이 진짜 바라는 건 제대로 된 일자리다. 어떻게 기업들의 고용 창출 여력을 높일지, 차기 정부가 집중할 핵심 산업은 무엇인지 등 경제 비전을 제시하고 2030들에게 공정한 취업 기회를 보장하는 제도가 절실하다. 기금 고갈 위기의 연금 개혁도 좀 더 구체적인 논쟁이 필요하다. 이런 본질적 문제에 대한 진단과 해법은 도외시한 채 현금 공약만 앞세워선 2030 표심은 꿈쩍도 안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