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직방이 발표한 설문조사(1727명 대상, 6월20일~7월4일) 결과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거주지역 집값 전망에 대해 전체 응답자(1727명) 중 61.9%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한 2022년 주택 매매가격 하락(43.4%) 응답 비율보다 20%포인트(p) 가까이 웃도는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63.2%), 경기(63.7%), 인천(61.0%)에서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60%를 웃돌았다. 5대 광역시(59.5%)와 지방(58.0%)도 60%에 육박했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선 유주택자·무주택자 모두 하락 전망이 50%를 넘어섰지만, 무주택자의 하락(72.4%) 전망이 더 많았다.
집값하락의 원인으론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63.9%)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Δ고점 인식으로 인한 수요 감소(15.0%) Δ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12.1%) Δ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주택가격 상승을 예상한 응답자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 및 집값 동반 상승’(35.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Δ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매수 전환 수요 증가(21.4%) Δ정부 부동산 정책 규제 완화 기대(14.6%) Δ신규 공급 물량 부족(11.8%) Δ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11.0%) 등이 뒤를 이었다.
2022년 하반기 주택 전셋값은 전체 응답자 중 40.7%가 ‘하락’을 전망해 ‘상승’(35.1%) 응답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승’(46.0%) 응답 비율이 더 높았던 2022년 전셋값 전망 결과와 다른 양상이다. 지난해 말 조사 당시에는 2022년 전셋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던 반면 2022년 하반기는 ‘하락’ 전망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더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43.0%), 인천(42.6%), 지방 5대 광역시(46.3%)가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40% 이상이었고 서울(37.6%)과 지방(35.8%)은 30%대로 나타났다. 지방은 여전히 ‘상승’(39.9%) 전망 비율이 더 높았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유주택자는 ‘상승’(42.1%) 전망을, 무주택자는 ‘하락’(50.1%) 전망하는 비율이 더 높아 응답자별 차이를 보였다.
전셋값 하락 이유로는 ‘신축 입주, 매물 출시 등 전세 물량 증가’가 33.9%로 가장 응답이 많았다. 그다음으로는 Δ월세전환 증가로 전세 수요 감소(26.2%) Δ매매전환 증가로 전세 수요 감소(13.8%) Δ공공임대주택 확대 등 정책적 효과(1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2022년 하반기에 경기, 지방 5대 광역시는 상반기에 비해 많은 입주물량이 대기 중이다. 이런 영향으로 해당 지역 거주자 중 2022년 하반기 전셋값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셋값이 오른다고 답한 응답자의 상승 이유로는 ‘전세 공급(매물) 부족’이 29.2%로 많이 응답했다.
이어 Δ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종료 매물 출시, 임대료 인상 우려(26.7%) Δ매매 상승, 매수 위축으로 인한 전세 전환 증가(2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주택 월세에 대한 질문엔 전체 응답자 중 48.1%가 ‘상승’을 전망했다. ‘보합’은 29.2%, ‘하락’은 22.7%로 나타났다. 작년 말에 조사한 2022년 월세 ‘상승’(51.5%) 응답 비율보다 다소 줄었지만 절반에 가까운 수치로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지역별로는 전국 모든 지역에서 ‘상승’ 전망 의견이 많은 가운데 서울(50.4%)과 경기(49.0%) 지역이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주택 보유 여부별로는 유주택자, 무주택자 모두 ‘상승’ 전망이 많은 가운데 유주택 군의 ‘상승’ 예상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반기 월세가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831명 중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매매, 전세상승 부담으로 월세 전환 수요 증가’가 45.5%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Δ전세 대출 규제 및 금리 이상 부담에 의한 월세 수요 증가(28.5%) Δ월세 공급(매물) 부족(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집값은 금리 등 대내외 요인으로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크고, 전셋값은 신규입주 물량에 따라 국지적인 차이를, 월세는 상승을 보일 것”이라며 “다만 정부가 규제지역 해제와 생애최초 LTV 완화 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