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카세’의 매력에 빠진 MZ세대[푸드 트렌드/김하늘]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김하늘 푸드 컨설턴트·베리라이스 대표
김하늘 푸드 컨설턴트·베리라이스 대표
어느 금요일 저녁, 서울 강남구 도산공원 인근에 있는 단골 스피크이지 바(speakeasy bar·미국 금주령 시대처럼 간판 없이 운영하는 술집)에 들렀다. 평소 같으면 예약을 해야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곳인데 웬일인지 빈자리가 많았다. 사장에게 연유를 물었다.

“비슷한 집이 너무 많아졌어요. 방금 오픈한다는 곳에 다녀왔는데 거기도 스피크이지 바더라고요. 요즘 새로 여는 웬만한 식당, 술집은 오마카세 아니면 이런 바예요.”

오마카세는 ‘맡긴다’는 뜻의 일본어. 고객이 1인당 얼마간의 금액만 내면 요리사가 그날그날 신선한 재료로 알아서 음식을 만들어주는 식당이다. 스피크이지 바도 비슷하다. 바텐더가 손님의 기분이나 취향에 맞게 알아서 칵테일을 만들어준다. 요리사(혹은 바텐더)가 손님과 더욱 ‘대면’하는 형식이 유행인 것은 코로나19로 경험했던 ‘고독’이 깊었기 때문은 아닐까.

또 하나의 인기 요인은 ‘인증욕’이다. 이런 가게들은 정형화된 메뉴보다는 즉흥 메뉴가 나온다. 비교적 유니크한 연출이 가능하다.

몇 년 전부터 조금씩 언급되던 ‘이모카세’는 이제 일반인들에게도 제법 익숙한 용어가 됐다. 이모에 오마카세의 ‘-카세’를 접미사로 붙인 말로, 이모님이 알아서 차려주는 음식과 안주가 나오는 형식을 재미있게 표현한 것. 이런 이모카세가 사실 새롭게 창업한 것들은 적다. 동네 어귀, 전통시장에 있던 허름한 식당과 포장마차들이 대부분이다. 기존엔 손님도 대개 중장년층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이모카세를 MZ세대들이 ‘점령’하고 있다. “여기까지 어떻게들 알고 오는지 모르겠어.” 얼마 전 찾은 한 동네 식당 사장님도 적잖이 놀란 눈치였다. 사실 인증욕을 충족시키려면 화려한 볼거리로 압도하는 게 쉬운 방법일 터. 왜 그와는 거리가 먼 제육볶음, 병어조림, 햄구이처럼 평범한 반찬이 상을 채우는 허름한 이모카세에 MZ세대들이 몰리는 것일까.

MZ세대의 성장 과정에서 답을 찾아본다. 2000년대 이후 아파트 주변과 시내 중심지에 있던 로컬 가게들은 대부분 급격히 성장한 프랜차이즈 식당으로 바뀌었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젊은이들의 오래된 동네와 허름한 식당에 대한 인식은 기성세대와 다를 수밖에 없다. 평범한 일상이나 저개발의 추억이 아닌, 새롭고 낯선 무엇이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에는 평범한 일상에 머물렀을 온갖 장소와 물건, 음식들이 마치 의식처럼 사진이 되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간다. 내가 그 순간, 그곳에 존재했음을 인증하기 위함이다.

오마카세의 장점은 고객의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요리에 반영하고, 단골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작금의 오마카세, 이모카세 열풍이 우리의 음식 문화에 시사하는 바도 여기에 있다. 효율, 수치 너머에, 아니 그보다 더 가까이에 음식 나누는 정(情)과 교감이 있기 때문이다.

귀한 이모카세가 20, 30년 동안 프랜차이즈화의 유혹에 넘어가 버렸다면 어땠을까. 동네 단골 고객을 믿고 굳건히 자리를 지키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오랜 기다림과 노력이 담겨 있는 노포들이 이제 세대 간을 잇고 있다. 시간과 정감의 승리다.

#이모카세#오마카세#mz세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