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학경 전작 국내 알린 김현주 교수
“뒤늦게 부고 실은 NYT 보고 의문
그녀의 삶, 우리 돌아보게 만들어”
올해 1월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40년 만에 ‘뒤늦은 부고’를 냈다. 한국계 미국인 예술가 차학경(1951∼1982)이다. 부산 출생인 차학경은 12세에 하와이로 간 뒤 미국 본토로 이주했다. 서른한 살에 요절한 탓에 남긴 작품은 50여 점에 그치지만 비디오, 퍼포먼스, 아트북 등에는 이민자와 여성이라는 정체성에 대한 그의 사유가 두루 담겼다.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다음 달 18일까지 상영 중인 프로그램 ‘영화로, 영화를 쓰다’에서는 차학경과 이란의 포루그 파로흐자드, 베트남계 프랑스인 마르그리트 뒤라스, 미국의 수전 손택까지 여성 예술가 네 명의 작품을 다룬다.
‘영화로, 영화를 쓰다’의 부속 강연인 ‘테레사 학경 차의 경계의 예술’도 열렸다. 강연을 맡은 김현주 추계예술대 미술대 교수는 2001년 미국 버클리미술관 기획순회전 도록 ‘관객의 꿈: 차학경 1951-1982’(2003년)를 번역해 국내에 처음 차학경 전작을 알렸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김 교수를 최근 만났다. 그는 “NYT 기사를 보고 지금 왜 차학경에게 주목하는지 의문이 들었다. 곰곰이 생각한 결과 성, 국적에 대한 정체성에 주목하는 이 시점에 아시안 아메리칸 여성으로서 차학경의 삶과 예술은 독창적이면서도 보편적인 공감대를 얻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했다.
차학경의 미완성 유작 ‘몽고에서 온 하얀 먼지’(1980년)는 중국 만주로 망명한 실어증 여성의 일대기를 소설과 영화로 만들다 중단된 작품이다. 조선 말 일제의 침략을 피해 만주로 건너간 차학경의 외할머니와 어머니의 삶을 토대로 만들었다.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어느 시대나 있었지만 지금은 주변부의 목소리가 나올 통로가 보다 다양해졌습니다. 변방이라 여겨지던 데 존재했던 이의 삶과 작품에 관심을 갖는 시대 분위기가 차학경을 불러냈다고 봅니다.”
김 교수는 차학경을 통해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보자고 제안했다.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내가 누구인지 알아가는 과정입니다. 자신과 다른 삶을 사는 이들을 돌아보면 자신에 대해서도 더 잘 알 수 있죠. 차학경의 삶은 우리에게 자신과 타인에 대해 찬찬히 살펴보게 만드는 힘을 지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