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살리는 유럽 콘서트홀]〈하〉 독일 함부르크 ‘엘프필하모니’
2000년 항구 재개발 때 뒤늦게 구상
옛 창고 위에 파도모양 유리구조물
공연도 매진 행렬 ‘엘베강의 보물’
북해로 흘러들어가는 엘베강 하류의 도시인 독일 함부르크는 중세 시대 북해 무역으로 번영한 한자동맹(독일의 여러 도시들이 상업상의 목적으로 결성한 동맹)의 일원이었다. 오늘날 독일 제2의 도시로 자리매김한 함부르크는 독일 연방 주(州) 중 하나로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항구를 가지고 있다.
중세시대 성벽 바로 앞에 있던 그라스브로크섬은 19세기 옛 항구가 포화상태가 되자 새로운 항구로 개발됐다. 1880년대에는 섬 전체가 창고로 가득 찼다. 유럽이 철도망과 고속도로망으로 통합되면서 20세기 후반에는 항구의 물동량이 감소했고, 이제 시내 중심부에 있는 이 지역은 퇴락의 기미를 감출 수 없었다.
2000년 함부르크시는 이 지역을 재개발하는 ‘하펜시티(항구도시) 함부르크’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25년까지 5만 명을 고용하는 기업 및 상업 시설과 1만4000명이 거주하는 아파트를 짓는다는 구상이었다.
콘서트홀은 이 거대한 구상 위에 뒤늦게 올려진 꽃송이였다. 2003년 민간 부동산 개발업자가 옛 창고 자리에 콘서트홀을 포함하는 함부르크 최고층 주거건물을 짓기로 하고 스위스 건축회사 헤르초크 운트 드뫼롱의 설계안을 받아들었다. 시 정부는 2007년 이 계획을 인수해 직접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건립 과정은 쉽지 않았다. 예정 부지에 있던 창고는 지어진 지 40여 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건축사적 의미가 큰 것으로 밝혀지면서 건축문화재로 지정됐다. 헐어버릴 수 없게 되자 함부르크시는 기존 창고 건물 위에 새 건물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3년 걸릴 예정이었던 건축 기간은 9년을 넘기게 됐고 2억4100만 유로를 예상했던 예산은 한없이 늘어났다.
주의회에서 야당의 질타가 이어졌지만 되돌리기는 더 힘든 일이었다. 옛 벽돌색 창고 위에 푸르게 굽이치는 유리 건물이 올라가면서 여론은 회의보다는 기대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2017년 1월 11일, 새 콘서트홀 ‘엘프필하모니’의 첫 콘서트가 열렸다. 엘베강을 뜻하는 ‘엘프’와 필하모니를 합친 말이었다. 콘서트에 출연한 옛 북독일방송교향악단의 이름도 ‘NDR(북독일방송) 엘프필하모니 오케스트라’로 바뀌었다. 최종 공사비는 당초 예상보다 네 배 가까이로 늘어난 8억6600만 유로(약 1조1500억 원)였다.
건설 기간 내내 ‘엘베강의 말썽꾸러기’였던 이 홀은 이후 엘베강의 보물로 변신했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록다운(이동중단)을 하기 전까지 모든 공연이 매진 행렬을 이뤘다. 무엇보다 건물 자체가 볼거리였다.
이 건물은 복합시설로 개발돼 콘서트홀 외에 호텔과 스파, 레스토랑, 대규모 실내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26층 중 기존 벽돌 창고 위에 들어선 상부 18층은 파도 모양의 유리 구조물로 멀리서도 눈에 띄는 함부르크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꼽힌다. 관객은 지상에서 에스컬레이터로 8층 ‘더 플라자’까지 직접 들어가게 된다. 37m 높이에서 함부르크 시내를 360도로 조망할 수 있는 더 플라자는 엘프필하모니의 인기를 끌어올려준 최고의 매력 요인으로 평가됐다.
메인 홀은 2100석 규모로 프랑스 파리의 ’필하모니 드 파리’(본보 1월 10일자 A20면 참고)와 마찬가지로 객석이 무대를 둘러싼 비니어드(포도밭) 스타일이다. 벽체가 오목하게 파인 무늬들을 수놓아 잔향 흡수 효과와 함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메인 홀 외에 550석 규모의 리사이틀홀과 170명이 사용할 수 있는 교육시설 ‘카이스튜디오’도 갖추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