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과 이란의 핵 합의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된 가운데 양국이 지난해 말부터 핵 협상 재개와 수감자 석방 등을 놓고 물밑 협상을 이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대(對)이란 제재로 인해 한국 내에 동결된 약 70억 달러(약 8조9000억 원) 규모의 이란 석유 판매 대금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12월 미국과 이란이 미 뉴욕에서 만나 핵 합의를 되살리기 위한 고위급 논의를 시작했으며 이후 백악관 관계자들이 제3국인 오만을 최소 3차례 방문해 추가 접촉에 나섰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이날 미국과 이란, 이스라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이 이란 핵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비공식 합의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란은 자국에 억류된 미국인 수감자를 석방하고, 핵 프로그램을 동결하는 조건으로 미국에 해외에 발이 묶여 있는 석유 수출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제재를 풀어 달라고 요구 중이다. 양측이 이런 방안을 논의하면서 한국 내 이란 석유 판매 대금 동결 문제도 연동돼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 일간 카이한은 이날 이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에 묶여 있는 이란 자금 문제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앞으로 수 주 안에 실질적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양국의 핵 합의 가능성은 최근 꾸준히 거론돼 왔다. 10일 미국은 이라크에 묶여 있던 이란 가스 판매 대금 27억6000만 달러(약 3조5000억 원) 동결을 해제했다. 이후 이란 외교부는 미국과 이란 양국이 수감자 교환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2015년 핵 합의 타결 당시에도 양국이 수감자 교환에 합의한 바 있었던 만큼 핵 합의 타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미국은 2015년 체결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복원하기보다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농도를 60% 이하로 유지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 사찰을 받는 대가로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 수출을 허용하는 식의 ‘임시 합의’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의회에 출석해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을 ‘미니 딜’로 표현하며 “문서로 작성되는 공식 합의는 아닐 것”이라고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21년 취임 당시 지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폐기된 이란 핵 합의를 복원하겠다고 했으나 지난해 11월 협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이 최근 이란과의 핵 협상에 다시 나선 것은 중동 지역에서 급속도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양국 간 입장 차가 여전해 합의 타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있다. 나세르 카나니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미국과의 임시 합의 가능성을 부인하며 “2015년 핵 합의의 틀 안에서 제재를 푸는 것이 이란의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