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에 대형건설사도 위기
KCC, 사옥담보 625억사채 발행
신세계, 레저산업 팔아 현금 확보
업계 폐업 늘어 ‘4월 위기설’ 확산
국내 도급 순위 5위인 GS건설은 인천 송도자이풍경채그라노블의 시행사가 일으킨 3000억 규모 증권사 대출에 대해 지급보증을 섰다. 해당 사업장이 미분양돼 시행사가 상환을 못하게 되면 GS건설이 미분양 물건을 인수해 상환금을 마련한다는 조건이다. GS건설은 지난해 2월과 3월에도 증권사로부터 총 3000억 원 규모 대출을 집행했는데, 해당 대출을 만기 상환한 뒤 연달아 올해 초 KB국민은행에서도 대출을 받았다. 부동산 시장 여건 악화가 계속되면서 중소 건설사는 물론 대형 건설사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국내 건설사 자금 마련 비상
19일 건설업, 투자은행(IB)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건설사들은 펀드 조성,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자금 확보에 나섰다.
중견 건설사 KCC건설은 지난달 서울 강남에 있는 본사 사옥을 담보로 잡고 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보증받았다. KCC건설은 이를 통해 총 625억 원의 담보부사채를 발행했다. 만기는 2년이다. 해당 사옥은 이미 1500억 원 규모의 담보권이 설정돼 있다. 사옥을 통해 받을 수 있는 대출이 거의 한계에 다다랐다는 평가다. KCC가 이렇게 사옥을 담보로 유동성을 확보한 건 PF사업장 부실로 자체 현금 흐름이 악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급 순위 32위인 신세계건설도 이달 14일 이사회를 열고 자사 레저사업을 1800억 원에 조선호텔앤드리조트에 매각하기로 의결했다.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말 기준 953%인 부채 비율을 400%대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달 19일에도 2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유동성을 보충했다. 신세계건설의 주택 사업은 대구 지역 분양률이 20% 미만을 나타내는 등 미분양이 지속되면서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동부건설은 지난해 4분기(10∼12월) 해외 현장 공사대금, 대여금 회수 등을 통해 3000억 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롯데건설도 금융사를 통해 2조3000억 원의 PF 유동화증권 매입펀드 조성에 나섰다. 시중은행과 증권사, 계열사 등이 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형태다.
● 국내 건설사 10곳 중 8곳 “이자 감당 어렵다”
건설사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더 깊고 길어서다. 고금리에 원자재 가격 상승이란 악재까지 겹쳐 건설사들은 돈줄이 마르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한 102곳 중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는 답변이 38.3%나 됐다. ‘양호’라는 응답 18.6%의 두 배가 넘는다. 또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를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76.4%가 ‘현재 기준금리(3.5%)에선 이미 임계치를 넘었다’고 답했다. 건설사 10곳 중 8곳이 현재 금리 상황에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답한 셈이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며 일각에선 ‘4월 위기설’까지 나온다. 올해 들어 이달 15일까지 부도가 난 건설사는 5곳, 폐업한 건설사는 이달 18일까지 565곳이다. 2021년 같은 기간 폐업 업체가 361곳인 것을 감안하면 두 배 가까이 불어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건설업계가 한계 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금리·수수료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준공 기한 연장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