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정책 디지털전환 10대 과제
산불감시 체계 10곳서 30곳으로 확대… 7월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 설립
사태 예측 행정 단위를 리로 세분화… 산림 수계 수치지도 구축해 재난 대응
산림청이 내년 발사 예정인 농림 위성을 활용해 산림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는 등 산림관리와 재난 대응력을 높인다. 13일 산림청은 정부대전청사에서 설명회를 열고 과학적인 산림 과학 체계 구축을 위한 ‘산림정책 디지털전환 10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동해안을 중심으로 설치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산불감시 체계는 10곳에서 경북 등으로 넓혀 30곳으로 확대해 산불감시 사각지대를 줄인다. 산불확산예측시스템 동시접속 성능을 강화하고, 입산 통제나 등산로 폐쇄를 안내하는 산불 취약지 관리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통신이 먹통이 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저궤도 위성통신을 활용한 무선통신 방안도 꾸린다.
산지 위주의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급경사지, 발전시설 등이 포함된 사면 정보까지 통합 관리하는 범부처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으로 확대 개편한다. 사태 예측 행정 단위를 읍면동에서 리 단위로 세분화하고 예측 단계도 기존의 주의보와 경보의 2단계 사이에 예비 경보를 추가해 총 3단계로 나눠 주민 대피 골든타임(1시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산림 수계 분포와 유량 정보를 바탕으로 한 산림 수계 수치지도를 구축해 사태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대국민 산림복지 서비스도 넓힌다.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는 자연휴양림, 산림교육, 치유시설 예약을 포털 사이트나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도 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임업인들이 민원을 신청할 때 별도의 구비서류가 필요하지 않도록 25개 부처 56종 데이터를 공유하고 임업직불금 신청부터 수령까지 안내하는 ‘e-임업비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산 목재 생산이력, 품질관리 등을 담은 목재정보서비스를 구축해 생산부터 소비까지 통합 관리한다.
7월에는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를 서울 강동구 고덕동에 설립한다. 내년 발사 예정인 농림 위성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산림 관리를 할 예정이다. 위성이 보낸 자료를 바탕으로 나무와 식물 개화 시기를 예측하고 산림 재난의 피해 면적을 빠르게 산출해 산림 빅데이터를 쌓는다. 전국 산림 현황을 볼 수 있는 디지털 산림지도는 임상도 산림토양도 등 18종에서 산림 물지도 등 32종으로 확대한다. 산림공공데이터는 개인정보 등을 제외하고 내년까지 모두 개방할 예정이다. 산림탄소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해, ‘산림경영이음’ 통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의 국·공·사유림 경영활동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2026년까지 산림 탄소 측정, 보고, 검증 체계를 만들어 산림 분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이에 필요한 국제적 증빙자료인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의 산림 탄소 흡수량을 자동 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산림을 과학적으로 관리해 국민과 220만 산주, 21만 임업인이 다양한 혜택을 편하게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