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2030년 매출 60조 원을 달성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친환경 지속가능 비즈니스’, ‘배터리 소재 중심의 e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신약’ 등 3대 성장동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3대 성장동력은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빠른 변화가 요구되는 분야다. 고객들의 수요와 성장 잠재력도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LG화학 최고경영자(CEO) 신학철 부회장은 “LG화학은 배터리 사업부터 정보기술(IT) 소재, 전지 소재 등 첨단소재와 친환경 소재, 바이오 사업에 이르기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지난 20년간 10배가 넘는 매출 성장을 이뤘다”며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 대외 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해답은 고객과 시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추구하며 ‘톱 글로벌 과학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지난해 설비투자에 3조4000억 원을 투자했다. 올해부터는 매년 4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 6조6000억 원 수준인 신성장동력 매출이 2030년에는 40조 원까지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체 매출 중 신성장동력 비중도 같은 기간 21%에서 57%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성장동력 중 배터리소재는 연평균 20%대의 확고한 성장세가 기대된다. LG화학은 양극재뿐만 아니라 분리막, 탄소나노튜브(CNT) 등 부가소재사업을 육성한다. 퓨어 실리콘 음극재,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등 신소재 연구개발(R&D)을 적극 추진한다. 시장 리더십 강화를 위해 한·중·미·유럽으로 이어지는 양극재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갖춰 지난해 12만 t 규모인 생산능력을 2028년 47만 t까지 확대한다.
또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 외 신규 글로벌 고객사 비중도 4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 LG화학은 지난해 10월 일본 도요타와 2조9000억 원 규모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올 2월에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25조 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LG화학은 재활용, 생분해·바이오, 재생에너지 소재 중심으로 사업구조 전환을 가속화해 저탄소 비즈니스 리더십을 강화하고 관련 매출도 2022년 1조9000억 원에서 8조 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028년 100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공략을 위해 기계적·화학적 재활용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다.
또 혁신 신약 분야에서는 항암과 당뇨·대사 영역에 집중할 계획이다. LG화학은 2030년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 5개 상용화 목표를 세워 향후 5년간 약 2조 원의 R&D 투자를 진행한다. 현재 20여 개의 신약 과제(전임상∼임상)를 보유 중이며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연구개발에 속도를 낸다. 세계에서 가장 큰 항암 시장인 미국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FDA 승인 신약 ‘포티브다’를 보유한 미국 아베오사를 인수했고 항암신약 개발 가속화 및 유망 신약물질 도입을 검토 중이다.
신성장동력을 앞세워 LG화학은 탈탄소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국내 업계 최초로 재무적 관점의 손익 검토와 투자 우선순위 등 의사결정 지원이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탄소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생산량, 에너지 원단위 같은 기초 데이터는 물론이고 신·증설 투자 및 생산계획 등 전반적인 사업계획까지 연계한 탄소 배출 전망치를 산출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