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친환경, 저탄소 에너지 전환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한국석유공사가 저탄소 신에너지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탄소포집저장(CCS) 및 수소·암모니아 사업 추진 근거를 담은 ‘한국석유공사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로써 석유공사는 저탄소 신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보하게 됐다.
2015년 파리협정 체결을 계기로 모든 국가에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됐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목표를 세우고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해 가고 있다.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 이행 방안 중 하나인 CCS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땅속에 주입해 저장하는 것으로, 핵심 기술이 석유 개발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과 비슷하다. 유전 탐사·평가 기술은 이산화탄소 저장소 탐사에 쓰이고 이산화탄소 주입 기술은 원유 생산 극대화를 위한 회수증진 기술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지난 45년간 국내외에서 다양한 석유 개발 경험을 축적한 석유공사는 CCS 분야에서도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 해상 이동식 이산화탄소 주입 선박, 해저 주입 시설 관련 특허권까지 확보해 국내 CCS 사업을 선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석유공사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연간 120만 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국내 최초의 CCS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해저배관을 통해 수송해 동해가스전 고갈 가스층에 매년 120만 t 규모로 주입하는 프로젝트다. 울산 남동쪽 해상 58km에 위치한 동해가스전은 석유공사가 자체 기술력을 활용한 탐사에 성공하면서 2004년부터 가스 생산을 시작했고 2021년 말 생산이 종료된 바 있다.
국내의 이산화탄소 저장소가 동해가스전만으로는 부족한 가운데 석유공사는 국내 대륙붕 개발 마스터플랜인 ‘광개토 프로젝트’를 세우고 중장기적으로 저장소를 확보하는 계획도 마련했다. 동해와 서·남해에서 신규 유전을 발굴하고 대규모 이산화탄소 주입 공간도 확보하는 방안이다.
또 석유공사는 청정 수소·암모니아의 유통 및 공급 기반 구축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 청정 수소·암모니아의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는 작업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45년간 축적한 석유 개발 기술과 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미래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