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공화국 사건-사회변화, 1987년 민주화 만든 중요 변곡점 돼”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제5공화국’ 펴낸 강원택 교수
10·26, 5·18 등 다각도로 조명
“5공 부정한다고 ‘없는 역사’ 아냐”

“제5공화국 시기를 부정한다고 해서 없는 역사가 되진 않으니까요.”

지난달 18일 학술서 ‘제5공화국’(역사공간)을 펴낸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63·사진)는 3일 동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책을 출간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신간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죽음으로 유신 체제가 무너진 후부터 1988년 2월 제6공화국이 들어서기 전까지의 시기가 한국 정치사에서 어떤 의미를 차지하는지를 집중 조명한다. 강 교수는 “5공화국을 거치면서 한국이 민주화를 이룬 만큼 당시 겪은 사건과 경험을 제대로 마주해야 우리 사회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

신간은 ‘왜 1979년에는 이뤄지지 않았던 민주화가 1987년에는 가능했을까?’라는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강 교수는 “1979년 10·26사태는 궁정 내부에서 벌어진 권력 내부의 파열일 뿐, 대중의 광범위한 저항으로 이뤄진 결과가 아니었다”며 “반면 5공화국 시기에 겪은 각종 사건과 사회경제적 변화는 1987년 민주화를 만든 중요 변곡점이 됐다”고 말했다.

신간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과 ‘1985년 12대 국회의원 선거’를 1987년 민주화의 결정적 원인으로 제시한다. 우선 5·18에서 권위주의 군부로부터의 민간인 희생을 겪은 뒤 대중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커졌고, 12대 총선에선 체제 저항적인 신한민주당이 제1야당으로 부상하며 변혁을 원하는 민심을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신간은 “5공화국 때 성장한 중산층이 그 정권을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도 분석한다. 경제 성장을 맛보면서 정치적 자유를 갈망하게 된 중산층의 욕구가 ‘직선제 개헌’이라는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정치적 의제를 만나면서 폭발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민주화는 특정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성취해낸 결과”라고 말했다.

신간은 객관적 사료를 통해 5공화국 시기 주요 사건의 원인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예를 들어 유신 붕괴 이후 민주화 바람이 불었던 ‘서울의 봄’이 실패한 원인을 단순히 전두환 전 대통령 개인의 권력욕으로만 돌리지 않는다. 최규하 전 대통령의 오판, 당시 야권 지도자였던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의 낙관주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개인에 대한 책임 전가는) 편리한 답일 수는 있지만 역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은 희석된다”며 “그 시절을 살았던 주요 정치 행위자들의 면면을 객관적으로 살피려 했다”고 말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제5공화국#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책 출간 이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