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김상운]日 사도광산 정부 대응, ‘군함도 실수’ 반복 말아야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12일 23시 15분


코멘트
김상운 문화부 차장
김상운 문화부 차장

“군함도 때와 같은 실수를 저지르면 안 된다. 사도광산 조선인의 노동 및 생활실태를 반드시 사실에 따라 정직한 태도로 설명해야 한다.”(마쓰우라 고이치로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

“사도광산의 노동환경은 매우 열악하고 위험했으며, 가장 위험한 업무는 조선인에게 배정됐다.”(아사노 도요미 와세다대 교수)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일본 전문가들조차 한국인 강제징용의 역사를 직시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6일 유네스코 전문가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사도광산의 등재 보류(refer)를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배제하기 위해 사도광산의 등재 신청 기간을 에도시대인 17∼19세기 중반으로 한정했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사실 일본 정부의 꼼수는 자국(自國) 전문가들뿐 아니라 공식 역사서에서도 그 한계가 드러난다. 사도광산이 소재한 니가타현의 역사를 소개한 ‘니가타현 백년(新潟県の百年)’에 따르면 1943년 3월 기준 니가타현에만 최소 4442명의 조선인 남성이 거주했으며 이들은 발전소, 철도, 공장 건설 현장 등에서 일했다. 이 중에는 조선에서 속아 연행된 이도 있었다. 역사학계는 1937년 중일전쟁 후 일본의 전시 경제체제와 강제동원이 본격화되면서 사도광산에만 약 2000명의 한국인들이 강제징용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에 대한 일종의 역사왜곡을 고집하는 건 일본 사회의 극우화와 맞물려 한국과의 역사전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정치적 의도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황선익 국민대 교수(사학 전공)가 사도광산 현지를 답사하고 쓴 논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에도시대로 한정한 것과는 다르게 사도광산 현지의 유구와 유물 대부분은 근대 이후에 조성된 것들이다. 폐광 후 농경이 오랫동안 진행되면서 에도시대 유적 상당수가 이미 소실됐다는 것. 이는 유네스코가 세계유산 등재의 핵심 기준으로 삼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의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는 대목이다. 황 교수는 “신청서에서 제시한 유산 구역은 근대 이후 시설물을 대거 포함해 공간으로 인한 논쟁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라며 “OUV 정합성 문제는 사도광산의 등재 과정에서 주목해 지켜봐야 할 중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국제평화와 인류 공동 번영의 달성’이라는 유네스코 창설 목표에 입각해 세계유산에 역사 갈등과 화해를 모두 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이와 관련해 사도 현지 종교계 인사 등이 발족한 ‘사도와 조선을 잇는 모임’이 에도시대 무숙인(無宿人·거주 대장에서 말소된 빈곤층) 노동자들과 조선인 징용자를 위한 추모행사를 매년 여는 것이 주목된다. 에도 막부가 부족한 노동력을 채우기 위해 동원한 무숙인들의 자리를 20세기 초반 조선인들이 대신한 사실은 역사 비극의 공유를 통해 화해를 모색하는 기반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조선인 강제징용의 전체 규모나 신원 등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자료를 폭넓게 수집·연구하는 정부와 학계의 노력이 시급하다.

#일본#사도광산#군함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