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이나 청년이나 정파 불문 한목소리로 “단결! 단결!”
이렇게 임시정부가 어려울 때 기둥 역할을 한 ‘어른’이 석오(石吾) 이동녕이었습니다. 1924년 그는 임시정부 국무총리가 됐고 군무총장에 이어 임시대통령 대리까지 1인 3역을 해냈죠. 파벌 다툼이 일어날 때마다 중심을 잡아주었습니다. 하지만 이해 말 재정난을 해결하지 못하면서 결국 국무총리 직에서 물러나야 했죠. 1910년 망명한 뒤 풍찬노숙하며 독립을 위해 있는 힘껏 달려왔으나 이 일로 병까지 얻고 말았습니다. 1925년 2월 상하이 프랑스조계에서 요양하던 그는 동아일보 특파원이 찾아오자 “남들이 나를 모르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각각 자기의 ‘나’를 모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제각기 ‘나’를 주장하면서 제일 중요한 단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안타까움이었죠.
그때 상하이 푸단대학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던 우사(尤史) 김규식도 “유대인 같은 확고한 단결이 있어야 하는데 불행하게도 아직 이것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동아일보 특파원에게 털어놓았습니다. 그는 이승만 이동휘 안창호 세 분이 진지한 성의와 위대한 인격으로 모범이 됐지만 개인 본위로 하는 바람에 임시정부의 마비가 왔다고 진단했죠. 이들이 희생적으로 행동했더라면 군중도 더 존경하고 동시에 단결하고 그러면 모든 일이 풀렸을 것이라고 아쉬워했습니다. 김규식은 스스로 창조파에 속했지만 당분간 정치에는 발을 끊고 교육과 실업에 힘쓰겠다고 했죠. 그만큼 분열된 임시정부에 실망이 컸나 봅니다. 그러면서도 단결만 하면 신봉하는 주의(主義)나 출신 지방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재삼 강조했죠.
동아일보 특파원은 의열단 단장 김원봉도 찾아갔습니다. 당시 김원봉은 자금난에 빠져 의열단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죠. 그는 ‘내 말이 신문에 그대로 실리겠느냐’면서도 “민족운동이 곧 사회운동이 되어야 하고 사회운동자는 곧 민족운동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선민중의 생존번영과 자유평등을 위해 분투노력한다는 점에서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이 뭐가 다르냐는 뜻이었죠. 김원봉은 민족이 계급보다 앞선다고 했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연대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즉 일본 무산자보다는 조선 무산자가 더 소중하다고 보았죠. 이 말을 놓고 보면 김원봉은 늘 민족을 중심에 둔 민족주의자였던 셈입니다.
임시정부가 휘청거리던 때 상하이에서 56세 이동녕, 44세 김규식, 25세 김원봉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단결’과 ‘단합’의 중요성을 이끌어낸 동아일보 특파원은 조덕진이었습니다. 필명을 ‘춘정(春艇)’이라고 했죠. 처음에는 촉탁, 즉 계약직으로 현지 채용됐다가 상주특파원으로 올라섰죠. 조덕진은 의열단 소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김원봉이 “형과 나의 친한 사이의 사담으로야 말 못할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라고 말문을 열었죠. 조덕진은 이해 5월 상하이에서 일어난 중국인들의 반제국주의 운동인 ‘5·30사건’도 4회 르포로 생생하게 소개했습니다. 본인은 그맘때 결성된 상하이청년동맹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기도 했고요. 운동의 참여자이자 관찰자로 동시 활약한 인물이었습니다.
기사입력일 : 2021년 07월 23일
◇上海(상해)에서 石吾(석오) 李東寧(이동녕) 氏(씨) 談(씨담)
上海(상해) 法界(법계)에서 身病(신병)을 靜養中(정양중)인 李東寧(이동녕) 氏(씨)는 往訪(왕방)한 記者(기자)에게 말하되 무슨 말슴을 하엿스면 조켓슴닛가. 그래도 말하자면 서로 勉勵(면려)하는 말밧게 업슬 터인데 只今(지금) 안자서 누구를 勸勉(권면)한다는 것도 도로혀 우수운 일이니 도모지 말하기 실슴니다. 그리고 나 個人(개인)으로 말하면 年來(연래)에 하도 뜻 아닌 일이 만하서 사람을 對(대)할 때마다 붓그러운 생각이 북밧치여 어느 때에는 오는 손님까지도 반갑지 안슴니다. 十數年來(십수년래) 過去(과거)의 긴 歲月(세월)은 姑舍(고사)하고 다만 昨年(작년) 一年間(1년간)의 經過(경과)로 말하더라도 그것이 어듸 내 뜻이겟슴닛가.
時勢(시세)라면 도로혀 무엇하고 形便(형편)이 그러케 되엿섯슴니다. 그러나 그것은 知者知之(지자지지) 不知者不知(부지자부지)에 一任(일임)하고 무에라고 辨明(변명)하랴고도 아니하며 그럿타고 또 責任(책임) 안지는 것도 아니외다. 責任(책임)은 完全(완전)히 지고 잇슴니다. 그리고 더욱히 內地同胞(내지동포)에 對(대)하야는 年來(연래) 떠들어오든 것이 모다 거짓말로 되여서 一般兄弟(일반형제)에게 罪悚(죄송)할 뿐만 아니라 家庭內(가정내)의 父母妻子(부모처자)에게도까지 對(대)할 낫이 업슴니다. 十數年間(십수년간) 海外(해외)로 떠단니면서 된 것이 무엇이며 한 것이 무엇임닛가. 寫眞(사진)을 달라 하시지만 寫眞(사진)은 姑舍(고사)하고 내 일홈까지도 新聞(신문)에 내지 마시오. 나는 世上(세상)사람이 이 사람이 잇는 것을 알지 못하엿스면 多幸(다행)이겟슴니다. 구태여 무슨 말을 하라 하시면 또 只今(지금) 이 말의 되푸리로 남들이 나를 모르기를
希望(희망)할 뿐만 아니라 各々(각각) 自己(자기)의 『나』를 모르기를 希望(희망)함니다. 只今(지금) 우리들의 運動(운동)이 이미 一(일) 二人(이인)의 일이 아니오 또 一(일) 二人(이인)의 힘으로 成功(성공)할 배 아니인 以上(이상)에는 第一着(제일착)이 當事者(당사자)들의 團結(단결)일 터인데 그런데 이것이 이때것 成立(성립)되지 못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사람마다 『나』라는 그것이 잇서서 제 各其(각기) 『나』를 主張(주장)함인가 함니다. 그럼으로 나의 愚見(우견)에는 이 時弊(시폐)를 救(구)하랴 함에는 『母我(무아)』 『勿執己見(물집기견)』 等(등)이 가장 適藥 그 병에 적합한 약
(적약)인 듯함니다. 이것이 비록 陳腐(진부)한 녯 文字(문자)이지만 眞理(진리)는 恒當 恒常?
(항당) 그대로의 眞理(진리)이겟지오. 卽(즉) 今(금) 우리 運動(운동)에 여러 同志(동지)들은 흔히 物質(물질)의 힘을 만히 말슴하지만 나는 物質(물질)보다도 몬저 우리의
團結(단결)을 力說(역설)함니다. 다시 말하면 무엇보다도 우리 大衆(대중)의 覺悟(각오) 應急(응급)으로 某々(모모) 몃 사람의 覺悟(각오)가 더 必要(필요)하다 함이외다. 또 內地(내지) 同胞(동포)에 對(대)하야 말슴하라 하심닛가. 俗談(속담)에 虎狼(호랑)에게 물려가도 精神(정신)만 차리면 된다 하엿슴니다. 우리들도 精神(정신)을 잘 차리고 갑시다. 畢竟(필경) 어느 一日(일일)이 잇겟지오.(下略·하략)
◇상하이에서 석오 이동녕 씨 인터뷰
상하이 프랑스조계에서 신병을 요양 중인 이동녕 씨는 찾아간 기자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무슨 말씀을 하였으면 좋겠습니까. 그래도 말하자면 서로 열심히 하자는 말밖에 없을텐데 지금 앉아서 누구를 권면한다는 것도 도리어 우스운 일이니 도무지 말하기 싫습니다. 그리고 나 개인으로 말하면 최근 몇 년간 하도 뜻하지 않은 일이 많아서 사람을 대할 때마다 부끄러운 생각이 북받쳐 어느 때에는 오는 손님까지도 반갑지 않습니다. 10여년 과거의 긴 세월은 고사하고 다만 작년 1년 간 지나온 일로 말하더라도 그것이 어디 내 뜻이었겠습니까.”
“그때 사정이라면 도리어 무엇하고 형편이 그렇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알 사람은 알고 모를 사람은 모르게 맡기고 무엇이라고 변명하려고도 하지 않으며 그렇다고 또 책임을 지지 않는 것도 아니외다. 책임은 완전히 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이 내지 동포에 대해서는 몇 년 이래 떠들어오던 것이 모두 거짓말로 되어서 일반 형제에게 죄송할 뿐만 아니라 가정 내의 부모처자에게까지도 대할 낯이 없습니다. 십수 년 간 해외로 떠다니면서 된 것이 무엇이며 한 것이 무엇입니까. 사진을 달라고 하시지만 사진은 고사하고 내 이름까지도 신문에 내지 마시오. 나는 세상 사람이 이 사람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였으면 다행이겠습니다. 구태여 무슨 말을 하라 하시면 또 지금 이 말을 되풀이 해 남들이 나를 모르기를 희망할 뿐만 아니라 각각 자가의 ‘나’를 모르기를 희망합니다.”
“지금 우리들의 운동이 이미 한두 사람의 일이 아니고 또 한두 사람의 힘으로 성공할 바가 아닌 이상에는 제일 중요한 것이 당사자들의 단결일 터인데 그런데 이것이 이때까지 성립되지 못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사람마다 ‘나’라는 그것이 있어서 제각기 ‘나’를 주장했기 때문인가 합니다. 그러므로 나의 어리석은 생각에는 이 잘못을 바로잡으려면 ‘무아(無我)’ ‘물집기견(勿執己見’ 등이 가장 적합한 처방약인 듯합니다. 이것이 비록 진부한 옛날 문자이지만 진리는 항상 그대로의 진리이겠지요. 즉 지금 우리 운동에 여러 동지들은 흔히 자금의 힘을 많이 말씀하지만 나는 자금보다도 먼저 우리의 단결을 역설합니다.”
“다시 말하면 무엇보다도 우리 대중의 각오, 긴급하게는 어떤 몇 사람의 각오가 더 필요하다고 함입니다. 또 내지 동포에 대하여 말씀하라고 하십니까. 속담에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들도 정신을 잘 차리고 갑시다. 반드시 어느 하루가 있겠지요.”(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