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들여온 자기네 ‘최고신’, 신들의 전쟁 불 지펴
當局(당국)의 注意(주의)를 要(요)한다
一(1)
宗敎生活(종교생활)의 可否(가부)와 合理(합리) 不合理(불합리)는 別問題(별문제)로 할지라도 現代(현대) 人類界(인류계)에 多數(다수)가 種類(종류)는 不一(불일)하나 信仰(신앙)의 生活(생활)을 繼續(계속)하는 以上(이상) 信仰(신앙)이라는 것이 只今(지금)까지의 人類(인류)에게는 重大(중대)한 問題(문제)로 보지 아니할 수가 업다. 그럼오로 宗敎(종교) 非宗敎(비종교)를 勿論(물론)하고 信仰(신앙)에 關(관)한 生活(생활)에 等閑視(등한시)하기에는 너머나 信仰的(신앙적) 生活人(생활인)이 多大(다대)한 것과 信仰(신앙)이 個人生活(개인생활)이나 團體生活(단체생활)에 주는 影響(영향)이 夥多(과다)하다. 그럼으로 最近(최근) 日本(일본)서 尊重(존중)되는 神社(신사)가 朝鮮(조선)에 와서 信仰上(신앙상) 意義(의의)가 엇더할가 함에 對(대)하야는 매우 議論(의논)이 紛紛(분분)한 貌樣(모양)인대 神社(신사)가 宗敎(종교)이냐 아니냐 하는 點(점)에 이르러서도 學者間(학자간)의 議論(의논)이 不一(불일)할 뿐 아니라 京城(경성)에 新設(신설)된 朝鮮神宮(조선신궁)에 對(대)하야도 耶蘇敎徒側(야소교도측)에서 參拜(참배)를 避(피)하는 事實(사실)로 因(인)하야 相當(상당)히 論議(논의)가 되어 잇는 터이니 神社(신사)가 宗敎(종교)의 對像物(대상물)이거나 아니거나 信仰(신앙)의 對像(대상)인 以上(이상) 一方(일방)에 信仰(신앙)의 對像(대상)을 別(별)로 가지고 잇는 耶蘇敎徒間(야소교도간)에 問題(문제)가 되는 것은 그대지 怪異(괴이)히 생각할 바가 아니오 오히려 잇기 쉬운 일로 보지 아니할 수가 업다.
二(2)
今番(금번) 朝鮮神宮(조선신궁) 參拜(참배)를 避(피)한 耶蘇敎學校(야소교학교)에 對(대)한 當局(당국)의 意見(의견)도 昨紙(작지)에 報道(보도)한 바와 如(여)히 生田(생전) 內務局長(내무국장)은 神宮(신궁)은 宗敎(종교)가 아닌대 宗敎(종교)로 아는 것이 誤解(오해)라 하야 그 誤解(오해)를 가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 順序(순서)라는 意味(의미)로 말을 하엿고 李(이) 學務局長(학무국장)은 매우 問題視(문제시)하는 뜻을 表示(표시)하엿스니 엇더한 것이 總督府當局(총독부당국)의 意見(의견)인지는 알 수 업스나 如何間(여하간) 神社(신사)가 宗敎的(종교적) 對像(대상)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道德(도덕)의 權威(권위)로 精神上(정신상) 感化(감화)를 意味(의미)하는 것임은 分明(분명)하니 一種(일종)의 信仰(신앙)인 것은 分明(분명)하다. 그럼으로 信仰(신앙)인 以上(이상) 信仰(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個人(개인) 心靈(심령)의 直接(직접) 內證(내증) 卽(즉) 自己獨得(자기독득)한 經驗(경험)이 相連(상련)되여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 自己(자기)가 自進(자진)하야 取(취)할 바오 他人(타인)이 此(차)에 干涉(간섭) 又(우)는 變更(변경)할 수가 업는 것이다. 精神上(정신상)으로 自己(자기)의 尊嚴(존엄)을 自覺(자각)하는 同時(동시)에 大靈(대령)의 權威(권위)를 仰望(앙망)하는 態度(태도)가 아니면 아니될 것이다. 이리하여 비로소 對像體(대상체)에 對(대)한 尊敬(존경)하는 本意(본의)가 發揚(발양)될 것이다. 自己(자기)의 生命(생명)을 愛護(애호) 發揚(발양)하는 同時(동시)에 大宇宙(대우주)의 生命(생명)에 參與(참여)하는 信仰的(신앙적) 立塲(입장)이라야 비로소 道德的(도덕적) 生活(생활)과 尊敬(존경)의 目的物間(목적물간)에 連聯(연련)이 잇슬 것이다.
三(3)
그럼으로 耶蘇敎學校側(야소교학교측)의 今番(금번)에 取(취)한 態度(태도)에 對(대)하야서도 當局者(당국자)가 萬一(만일) 이것을 狹量(협량)으로만 對(대)한다 하면 이것은 極(극)히 拙(졸)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업스니 적어도 歷史上(역사상)으로 보아서 現代(현대) 文明國(문명국)에서는 信仰(신앙)의 自由(자유)를 認定(인정)하지 아니할 스 업는 由來(유래)와 理由(이유)를 沒却(몰각)하는 行動(행동)이라고 아니할 수 업다. 그럼으로 誤解(오해)로 認定(인정)할 點(점)이 잇스면 그 誤解(오해)는 가지지 아니하도록 說解(설해)은 하는 것이 다 可(가)할 것이나 信仰(신앙)에 關(관)하야는 어대까지던지 自由(자유)를 尊重(존중)하는 原理(원리)에 準從(준종)하지 아니하여서는 아니된다는 것을 注意(주의)하야둔다.
당국의 주의를 요구한다
1
종교생활의 가부와 합리 불합리는 별문제로 하더라도 현대 인류사회의 다수가 종류는 다르지만 신앙생활을 계속하는 이상 신앙이라는 것이 지금까지의 인류에게는 중대한 문제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종교 비종교를 물론하고 신앙에 관한 생활에 등한시하기에는 너무나 신앙적인 생활인이 많은 점과 신앙이 개인생활이나 단체생활에 주는 영향이 퍽 많다. 따라서 최근 일본에서 존중되는 신사가 조선에 와서 신앙상의 의의가 어떠할까 하는 점에 대해서는 매우 의논이 분분한 모양이다. 신사가 종교냐 아니냐 하는 점에 이르러서도 학자 간에 의논이 다를 뿐 아니라 경성에 신설된 조선신궁에 대해서도 예수교 측에서 참배를 피하는 사실로 인하여 상당히 논의가 되고 있는 터이다. 신사가 종교의 대상물이거나 아니거나 신앙의 대상인 이상 한쪽에 신앙의 대상으로 별도로 가지고 있는 예수교도 간에 문제가 되는 것은 그다지 이상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있기 쉬운 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2
이번 조선신궁 참배를 피한 예수교학교에 대한 당국의 의견도 어제 지면에 보도한 바와 같이 이쿠타 내무국장은 신궁은 종교가 아닌데 종교로 아는 것이 오해라고 하여 그 오해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순서라는 의미로 말을 하였고 이 학무국장은 매우 문제시 하는 뜻을 표시하였으니 어느 쪽이 총독부당국의 의견인지는 알 수 없다. 하여간 신사가 종교적 대상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도덕의 권위로 정신상 감화를 의미하는 것임은 분명하니 일종의 신앙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신앙인 이상 신앙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 심령의 직접적이고 내적인 증명 즉 자기 홀로 얻은 경험이 서로 연관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가 자진하여 가질 것이지 다른 사람이 여기에 간섭하거나 변경할 수가 없는 것이다. 정신상으로 자기의 존엄을 자각하는 동시에 큰 영의 권위를 우러르는 태도가 아니면 안 될 것이다. 이리하여 비로소 대상체에 대한 존경하는 본뜻이 일어날 것이다. 자기의 생명을 애호하고 일으키는 동시에 대우주의 생명에 참여하는 신앙적 입장이라야 비로소 도덕적 생활과 존경의 목적물 간에 연관이 있을 것이다.
3
그러므로 예수교학교 측이 이번에 보인 태도에 대해서도 당국자가 만일 이것을 좁게만 대한다고 하면 이는 극히 옹졸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으니 적어도 역사상으로 보아서 현대 문명국에서는 신앙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유래와 이유를 아주 없애버리는 행동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오해락 인정할 점이 있으면 그 오해는 갖지 않도록 말로 푸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신앙에 관해서는 어디까지나 자유를 존중하는 원리를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주의하여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