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6년 1월 7일

편견에 찌든 소문이 증오의 화살 돼 동포 학살 불러

공유하기 닫기
원본보기
일본 미에현(三重縣)의 ‘구마노(熊野) 3산’은 성지로 꼽히는 곳입니다. 1925년 1월 구마노시와 가까운 기모토(木本)마을에서 터널공사가 시작됐습니다. 이세(伊勢)신궁에서 고개를 넘지 않고 구마노 3산으로 참배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죠. 조선인들도 많게는 200명 정도 일하고 있었습니다. 1926년 1월 2일 밤 19세 조선인 청년이 마을 극장을 찾아가 친구를 만나겠다고 하자 일본인 흥행주가 안 된다고 했습니다. 말싸움 도중 갑자기 일본인이 흉기를 꺼내 청년을 찔렀습니다. 이내 조선인들과 일본인들 간의 편싸움으로 번졌고 다음날에는 일본인들이 조선인 합숙소를 습격했습니다. 인부 한 명이 목숨을 잃었죠. 누군가 마을의 종을 울려 일본인 주민까지 몰려나와 가세했고 또 다른 조선인 한 명을 무차별 살해했습니다.

일본 미에현 기모토마을의 터널은 현재 ‘오니가시로호도’터널로 불린다. 길이 509m, 폭 4m 정도로 1925년 1월 착공해 이듬해 7월 개통됐다. 오른쪽은 동아일보 1926년 1월 11일자 2면에 실린 기사로 일본인들의 공격에 맞서 조선인들도 1000명 정도 모여 맞서고 있다는 내용이다.

조선인들은 발파용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리며 저항했지만 수가 적어 산이나 터널 속으로 도망쳤습니다. 사흘 동안 일본인 재향군인회 소방대 자경단 청년단 등이 이들을 쫓아다녔죠. 마치 ‘조선인 사냥’이 벌어진 듯했습니다. 부상자가 속출하자 일본 경찰은 조선인들을 배에 태워 다른 곳으로 보냈습니다. 좋게 말하면 ‘피신’이고 나쁘게 말하면 ‘추방’이었죠. 목숨을 잃은 두 조선인 유해는 눈 오는 산속에 방치돼 일본인들에게 여러 차례 훼손당했습니다. 12일이 지나도록 유족들이 찾아오지도 못한 채 결국 화장됐죠. 희생자 한 명의 아내는 아이 하나에 임신까지 한 상태로 집안의 기둥을 잃어버린 신세가 됐습니다. 동아일보는 ‘아이 업고 아기 배고 남의 땅에서 우는 여자’ 제목으로 이 여인의 안타까운 처지를 전했습니다.

재일 조선인사회에서 미에현 사건을 조사할 위원을 선정했다는 동아일보 1926년 1월 27일자 7면 기사에 조사위원 얼굴사진을 얹었다. 일월회는 신태악을,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에서는 신재용을 각각 파견했다. 일본 자유법조단에서도 후세 다쓰지 변호사를 조사위원으로 현지에 보냈다.

‘기모토 학살’ 소식이 전해지면서 안팎의 동포들은 피가 끓어올랐습니다. 당장 진상조사에 착수하겠다고 소매를 걷어붙였죠. 하지만 경성의 조선노농총동맹이 주도한 사건조사회 창립총회는 일제가 금지했고 인쇄물도 압수했습니다. 그래도 일본 도쿄나 교토, 오사카에 있는 각종 조선인 단체, 특히 사회주의 단체들은 조사회를 구성해 조사위원을 현지로 파견할 수 있었습니다. 도쿄의 일본인 변호사들로 구성된 자유법조단에서도 후세 다쓰지 변호사를 파견하는 등  지원에 나섰죠. 그러나 이들의 조사보고회는 일본 경찰이 연설을 수시로 중단한 끝에 결국 해산시켰습니다. 화가 난 청중은 경찰을 향해 ‘우리는 죽어도 다 같이 죽을테니 네 마음대로 하라’고 맞섰지만 공권력을 당할 수는 없었죠.

일본 교토에서 파견한 미에현 사건 진상 조사위원이 현지 경찰의 책임을 추궁하다 충돌이 발생했다. 이에 항의해 '경찰당국의 탄핵연설회'가 열렸으나 결국 중지당했다. 동아일보는 1926년 2월 4일자 2면의 3분의 1 분량에 이 내용을 실었으나 일제는 관련 기사 전체를 삭제했다.


일본의 조선인들에게 ‘기모토 사건’은 3년 전 ‘간토 학살’(동아플래시100 2020년 12월 26일자)과 4년 전 ‘니가타현 학살’(2020년 10월 3일자)을 떠올리게 하는 악몽과 같았습니다. ‘기모토 학살’과 ‘간토 학살’에서는 무엇보다 조선인들이 떼를 지어 방화 폭행 등을 한다는 유언비어가 나돌았습니다. 간토 학살 때는 ‘폭동을 일으켰다’ ‘우물에 독약을 풀었다’는 헛소문이 퍼졌고 기모토에서는 평소 무전취식을 일삼고 건방지게 활보하는 조선인들이 ‘복수하러 습격해 온다’는 말이 돌았죠. 이 때문에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폭력을 정당방위로 여겼습니다. 자경단이 나서고 경찰까지 가세한 배경이었죠. 제3자인 후세 변호사는 ‘간토대지진 당시의 조선인학살처럼 기모토 주민들의 광기어린 분위기가 있었다’고 냉정하게 진단했죠.

①일본 미에현 기모토마을에 세워진 조선인 노동자 배상도 이기윤의 추모비. 시민단체 ‘미에현 기모토에서 학살당한 조선인 노동자 추모비를 세우는 모임’이 건립에 앞장섰다. ②구마노시 사찰 고쿠라쿠지에 2000년 11월 세워진 배상도 이기윤 두 노동자의 묘비. 묘석에는 ‘유족의 슬픔, 차별당하는 사람들의 슬픔이 치유되기를 바란다. 차별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열리기를 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기모토 사건은 이주자나 난민이 쏟아지는 지금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시사점을 줍니다. 하지만 당시 동포들이 목숨 걸고 일본으로 건너가게 만든 식민지 조선의 극심한 차별구조를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동아일보는 ‘도일 노동동포, 미에현사건의 교훈’ 상, 하 사설에서 이 점을 지적했죠. 조선인들이 고향에서 살 길을 만들어 주지 않고 일본행만 막는 일제의 행정조치는 두고두고 어리석은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했죠. 간신히 건너간 조선인 노동자는 로마 노예계급이 세대를 건너뛰어 다시 나타난 것과 같은 처지라고도 했습니다. 재일조선노동자의 조직과 운동을 통한 자구노력 또한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입력일 : 2021년 10월 08일
警官(경관)에 追擊(추격)되야
山中(산중)으로 遁竄 とんざん, 도망쳐 숨음
(둔찬)
톄포된 됴선인 십팔명에게
위해를 가하랴는 일본인들
危難(위난) 中(중)의 三重縣(삼중현) 同胞(동포)


일본 삼증현(三重縣) 추도(墜道)에서 일대격투를 일으키엿든 조선사람들은 경관에게 포위되여 곤난이 적지 안음으로 차차 부근 산 가운데로 도망을 치는 사람들이 적지 아니하야 실상 추도에 남은 사람은 불과 네 명밧게 아니되여 경관들은 그를 뎨포하야 지난 오일 정오까지 열여덜 명을 톄포하야 결국 쟁투는 일단락을 고하엿다는데 경관이 조선사람들을 인치하게 되자 그곳 일본인들은 더욱 긔세가 놉하 조선인들에게 위해를 가하랴고 함으로 톄포된 조선인들은 순항함(巡航艦)으로서 신궁(神宮)으로 보내여 제뎐분서(鵜殿 鵜殿 うどの, 미에현 미나미무로(南牟婁)군의 지명分署)에 류치하고 취조 중이라더라.(신관 뎐보)
경찰의 추격을 받아
산 속으로 도망쳐 은신
체포된 조선인 18명에게
위해를 가하려는 일본인들
위험 속의 미에현 동포


일본 미에현 터널에서 일대격투를 일으켰던 조선사람들은 경찰에 포위되어 곤란이 적지 않음으로 차차 부근 산 속으로 도망을 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실제로 터널에 남은 사람은 불과 4명밖에 되지 않아 경찰은 이들을 체포한 뒤 지난 5일까지 18명을 붙잡아 결국 싸움은 일단락되었다. 경찰이 조선사람들을 끌고가자 그곳 일본인들은 더욱 기세가 높아져 조선인들에게 위해를 가하려고 하였다. 체포된 조선인들은 순항함에 태워 신궁으로 보낸 뒤 우도노분서에 유치하고 취조 중이라고 한다.(신관 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