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주도 AI, 추격조 만들고 파격 지원을”
압도적 투자로 인공지능(AI) 굴기를 보여준 중국의 ‘딥시크 쇼크’에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거세지며 한국 AI 업계의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탄핵 국면으로 AI 정책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가운데 정부가 업계 의견 수렴에 나섰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AI위원회,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6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개최한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진단 민관 간담회에서 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오픈AI나 딥시크급으로 AI 기술을 끌어올릴 수 있는 국가대표 추격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산하에 특수 임무 조직을 두고 제도에 묶이지 않고 파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학습 데이터와 인재를 확보하려면 기존 룰을 깨는 파격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들도 제시됐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올해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10개 이상의 딥시크 같은 회사를 만들려면 추격조로 선정된 회사에 ‘한 3년 정도 국내 데이터를 모두 갖다 쓰라, 저작권은 나중에
자세히 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