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 권력투쟁 조짐

Posted July. 22, 2002 22:51   

中文

중국 지도부의 권력이양 문제가 권력 투쟁 양상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초 장쩌민(76) 국가주석의 퇴진 여부에 국한된 것처럼 보였던 권력이양이 장 주석의 유임을 지지하는 노년층과 순조로운 권력승계를 원하는 장년층 간의 갈등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것.

파리에서 발행되는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22일 올 가을 퇴진할 것으로 점쳐지던 장 주석이 유임쪽으로 돌아서면서 중국 내에서 개혁 개방 이후 가장 심각한 정치적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며 올 가을 열리는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의 주요 의제를 결정하는 베이다이허() 회의가 이 같은 권력 투쟁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22일 시작된 베이다이허 회의의 가장 큰 관심사는 권력이양 문제다. 장 주석을 정점으로 한 3세대 지도부에서 후진타오(60) 국가 부주석을 중심으로 한 4세대 지도부로의 권력이양은 올 초까지만 해도 순조롭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지난달 초부터 장 주석의 3개 대표 이론(공산당이 선진 생산력 선진 문명 광범위한 인민 대중의 근본 이익을 대표해야 한다는 이론)이 각종 매체를 통해 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대대적으로 선전되면서 장 주석의 유임설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장 주석의 퇴진 여부는 아직도 안개 속에 싸여 있다. 따라서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유임 지지파와 퇴임 지지파 사이에 치열한 격론이 벌어질 것이라고 IHT는 중국 공산당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원자바오(59) 국무원 부총리의 총리직 승계 문제나 후진타오 부주석과 쩡칭훙(62) 공산당 조직부장을 염두에 두고 설치하려 했던 부()총서기제 등도 이와 함께 논의될 전망.

IHT는 베이징()의 소식통을 인용해 장 주석 퇴진 문제가 혼미를 거듭하면서 올 9월로 예정됐던 중국 공산당 16차 전국대표대회도 11월 말로 늦춰질 것이라고 전했다. 장 주석의 3개 대표 이론의 당헌() 삽입 문제도 이번 베이다이허 회의의 주요 의제다. 장 주석의 이 이론이 당헌에 삽입되면 장 주석은 자연스럽게 마오쩌둥(), 덩샤오핑()과 같은 반열에 오른다는 게 서방 외교관들의 분석이다.

장 주석의 권력이양 문제는 올 가을에 열릴 당 대회를 앞두고 노년층 지도부와 장년층 중간 간부들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장 주석의 유임을 지지하는 쪽은 당과 군, 정부의 고위급 지도자들로 60대가 대부분이다. 역시 60대인 31개 성과 자치구의 성장들도 유임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장 주석의 3개 대표론을 가장 적극적으로 선전하는 세력도 바로 이들. 이들은 후진타오 부주석이 권력을 승계할 경우 장 주석의 집권기간 중 어렵게 얻은 지위와 특권들을 버리고 퇴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후진타오 부주석이 당의 인사권을 장악하면서 노년층 대신 장년층을 기용하는 연경화()를 강력 추진했기 때문에 이들의 두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당과 정부의 중간 간부들은 장 주석이 계속 집권할 경우 당의 합법성에 위기가 올 것이라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76세인 장 주석이 계속 주석직을 유지할 경우 장 주석의 주도로 97년 도입된 당 정치국원 70세 이상 퇴진과 75세 이상 국가 주석 취임 불가 원칙이 무너진다는 주장이다. 물론 이들이 가장 노리는 것은 장 주석 퇴진으로 인한 권력 상승이다.

53년 전 공산혁명으로 건설된 중국에서 권력이 순조롭게 이양된 것은 덩샤오핑이 장 주석에게 물려준 것이 처음. 나머지는 모두 최고 권력자가 사망했거나 권력 투쟁을 통해 승계됐다. 따라서 제3세대에서 제4세대로의 권력이양 방식은 개혁 개방 이후 중국의 권력 이동의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특히 1956년 반우파 투쟁과 1960년대 문화혁명, 1989년 톈안먼() 사태 등 중국의 사회적 대격변은 당내 균열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이번 갈등이 어떤 사태로 번질지는 누구도 점치기 어렵다.

베이징의 외교분석가들은 장 주석이 계속 유임을 고집할 경우 당내 권력 투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이데올로기가 아닌 파워(권력)를 놓고 벌이는 진흙탕 싸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종대 orion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