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이유의 장미. 30대 이상에겐 잊혀지지 않는 추억의 순정 만화다.
1980년대에 해적판으로 국내에 소개된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이케다 리요코의 일본 만화가 원작. 마니아들은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배웠다고 할 만큼 18세기 프랑스의 모습을 실감나게 그려냈다. 오스트리아 출신 왕비 마리 앙트와네트와 근위대장인 남장 여인 오스칼이 주인공. 여기에 페르젠 백작, 서민 출신으로 오스칼의 심복인 앙드레가 등장해 네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추억의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뮤지컬로 무대에 올려진다. 일본의 대표적인 문화 상품으로 꼽히는 여성 가극단 다카라즈카()가 첫 내한 공연을 펼치며 자신들의 히트작을 공연하는 것. 11월 11일 오후 7시 반 첫 공연에 이어 12, 13일 오후 3시 공연이 이어진다. 경희대 서울캠퍼스 평화의 전당. 5만12만 원. 한글자막이 제공된다. 02-2113-6856
여성의, 여성에 의한 베르사이유의 장미
국내에서는 다카라즈카라는 이름이 생소하다. 1914년 창단된 다카라즈카는 남자 배우들이 여자 역할까지 도맡는 가부키()와는 반대로 여배우들이 남자 역할까지 맡는다. 소속 배우는 400명, 스태프만 100명에 이르는 중소기업 규모의 극단. 다카라즈카는 배우가 결혼하면 퇴단해야 하는 규정이 있어 단원 400명 전원이 모두 미혼 여성인 점도 특징.
총 5개 팀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중 별()팀이 내한한다. 각 팀마다 남녀 주연배우는 고정돼 있다. 남자 역을 맡는 여배우는 목소리도 남성적이다.
국내에도 여배우들로만 구성된 여성 국극이 한때 인기를 누렸지만 지금은 명맥만 잇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 다카라즈카는 두터운 팬 층을 확보하고 있을 만큼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 다카라즈카가 한차례 내한 공연했지만, 광복 후에는 첫 공연이다. 수차례 내한공연이 추진됐지만 15억 원(3일간 공연 기준)에 이르는 제작비 때문에 번번이 무산됐다가 올해 한일 공동방문의 해를 맞아 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성사됐다.
만화 vs 뮤지컬 앙트와네트 버전으로 무대 올려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1974년 초연 이래 지금까지 3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다카라즈카의 간판 레퍼토리이자 공전의 히트작.
다카라즈카의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하나는 마리 앙트와네트와 페르젠 백작의 사랑을 위주로 전개하는 앙트와네트 버전, 또 하나는 오스칼과 앙드레의 사랑을 큰 축으로 삼은 오스칼 버전이다.
이번에 국내에 오는 작품은 앙트와네트 버전이다. 물론 이 버전에도 오스칼과 앙드레가 등장하지만 주변 인물로만 나온다. 베르사이유의 장미하면 오스칼을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오스칼의 인기가 절대적인 것을 감안하면 오스칼 버전에 대한 아쉬움은 남는다. 물론 남자 주인공 페르젠 역은 오스칼 버전에서 오스칼 역을 맡은 다카라즈카의 스타 고즈키 와타루가 맡는다.
만화는 주인공들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하지만, 뮤지컬은 성인이 된 이후부터 그려진다. 만화에는 궁중의 암투나 당시 정치상황, 혁명에 이르게 되는 과정 등도 그려지지만 뮤지컬은 철저히 남녀 사랑 이야기에만 초점을 맞춘다.
강수진 sj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