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세계가 주목했던 두바이 성장모델 엇갈린 평가

세계가 주목했던 두바이 성장모델 엇갈린 평가

Posted November. 30, 2009 09:02   

中文

왜 당신은 모든 것을 세계 최대, 최고로만 만들려고 합니까.(기자)

왜 안 됩니까? 뉴욕에서 그런 게 가능하다면, 여기서도 가능한 것 아닙니까.(알막툼 총리)

그건 그렇다 쳐도 왜 이렇게 급하게 합니까. 보통 사람들이 평생 걸려서 할 일을 왜 하필 몇 년 안에 하려고 합니까.(기자)

저는 우리 국민이 바로 오늘 잘살게 되길 바랍니다. 20년 뒤가 아니라 바로 오늘요.(알막툼)

글로벌 경제가 한창 호황이던 2007년 10월, 두바이의 지도자 무하마드 알막툼 총리(60)는 미국 CBS 인터뷰에 출연해 이렇게 말했다. 그의 이 같은 언급은 두바이가 어떻게 그리 짧은 기간에 초고속성장을 할 수 있었는지, 또 왜 최근 국가부도에 준하는 위기를 맞았는지를 동시에 설명해주고 있다. 실제 두바이는 경제가 호황일 때만 해도 알막툼 총리의 희망처럼 사막 위의 뉴욕이라는 평가를 들었다. 하지만 두바이 모델이 지닌 외형에 대한 집착과 조급함은 현재의 몰락을 가져 온 원인으로 작용했다.

두바이의 외형위주 성장은 오래전부터 이곳의 불안요인으로 지목돼왔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버즈 두바이를 비롯해 세계 최초 사막 위의 스키장, 세계에서 가장 큰 쇼핑몰 등 크기와 기록에 대한 집착이 강했다. 두바이가 잘나갈 때만 해도 이곳의 공무원들은 어떻게든 세계 최대로 지어야 사람들이 보러 오지 않겠느냐며 이를 당연시했다. 문제는 이런 인프라 개발이 호황기엔 관광객과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는 기능을 하지만 요즘 같은 불황기엔 빚만 늘리는 애물단지가 되고 만다는 점이다. 연간 매출액이 140억 달러 수준인 두바이월드는 현재 부채만 590억 달러가 넘는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경제학부)는 두바이 경제도 세계경제가 계속 호황이었다면 아마 유지가 됐을 것이라며 그러나 모든 경제에는 사이클이 있기 마련으로 두바이 같은 차입 위주의 경제구조는 불황기에 더 심하게 타격을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두바이 성장 모델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결론은 좀 미뤄둘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지도자의 끊임없는 위기의식은 여전히 그 가치를 상실하지 않았다. 자원이 부족한 두바이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물류허브로 탈바꿈한 것도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석유가 바닥난 뒤 무엇으로 먹고살 것인지를 구상했던 결과다. 자국 발전에 국적이나 관습을 따지지 않는 유연성도 아직은 벤치마킹의 대상이다. 두바이에는 국제기준에 맞추기 위해 이슬람 휴일인 목, 금요일에 업무를 하는 공공기관도 많고 아예 24시간 근무를 하는 곳도 있다. 조동성 서울대 교수(경영학과)는 두바이의 창조성은 여전히 평가할 만하다며 이번 시련을 극복한다면 두바이는 위기에도 강한 나라로 새롭게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재동 jarret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