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12조원 드는 평창올림픽, 적자 재앙 피하려면

12조원 드는 평창올림픽, 적자 재앙 피하려면

Posted January. 20, 2015 07:10   

中文

2018 평창 겨울올림픽을 위해 강릉에 새로 짓는 아이스하키 경기장은 1079억 원의 공사비가 소요되지만 올림픽이 끝나면 철거된다. 인구 20만 명의 강릉에선 유지가 힘들기 때문이다. 철거 비용만 추가로 1000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200억 원의 비용으로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를 활용하면 큰돈을 절약할 수 있다. 역시 강릉에 1311억 원을 들여 짓는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서울 태릉 스케이트장을 활용하면 400억 원으로 충분하다. 환경파괴 논란을 빚으며 사업비와 복원비에 2190억 원을 쓰는 정선의 활강경기장 또한 1997년 겨울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치른 무주리조트를 활용하면 300억 원이면 가능하다.

최근 방한한 구닐라 린드베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정위원장과 조양호 평창조직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평창 올림픽은 현재 계획된 장소에서 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린드베리 위원장은 경기장 사후 활용에 대해서는 명확히 해야 한다는 조건을 강조했다. 올림픽의 유산은 극대화하되 비용은 최소화하자는 것이 최근 IOC의 방침이다.

12조 원이 넘는 나랏돈이 들어가는 평창 올림픽이 빚더미 올림픽의 대표 사례로 기록된다면 국가와 강원도에 비극이다. 7000억 원 이상 비용을 대야 하는 강원도는 부채에 허덕이게 되고 부담은 도민에게 돌아가 미래 세대에 불행이 될 수 있다. 신설이 필요한 6개 경기장은 유치신청서의 착공 예정일보다 2년 반 늦은 지난해 하반기 첫 삽을 떠서 현재 공정이 10% 안팎에 불과하다. 이제라도 공사를 멈추고 새로운 모색을 하는 게 현실적이다.

평창 올림픽을 일본과 공동 개최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지만 국내에서 분산 개최하는 것은 출구 전략이 될 수 있다. IOC가 분산 개최 여부를 알려 달라고 한 시한은 올해 3월까지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일본과의 분산개최론에 대해 불가() 입장을 밝혔다. 국내 분산 개최도 조속히 결단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와 지역 국회의원들, 조양호 조직위원장은 나라와 지역을 위한 선택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