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정상회담, 완벽한 ‘팀플레이’로 北-美성공의 문 열어야
Posted May. 07, 2018 07:23
Updated May. 07, 2018 07:23
韓美정상회담, 완벽한 ‘팀플레이’로 北-美성공의 문 열어야.
May. 07, 2018 07:23.
.
한미 정상이 22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네 번째 만남이지만 그 의미는 다른 때와 다르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열리는 마지막 ‘작전타임’ r격인 이번 회담은 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직접 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생각을 전하고, 비핵화 플랜의 마지막 리뷰를 하는 자리다. 김정은 신년사 이후 전격적으로 진행돼온 북한 비핵화 프로젝트는 클라이맥스인 북-미회담을 앞두고 외견상 순항을 해온 것으로 보인다. 회담 날짜와 장소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우리는 지금 날짜와 장소를 갖고 있다”며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북-미 회담이 조금 늦어지는 분위기인 것은 사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회담 시점과 관련해 “3, 4주 이후”라고 말한 바 있다. 금방이라도 이뤄질 것 같았던 억류 미국인 석방도 아직까지 소식이 없다. 비록 북한이 비핵화 및 ‘강화된 사찰’ 수용 의사를 밝혔다고는 해도, 비공식 실무접촉 과정에서 적잖은 이견이 돌출됐음을 시사한다. 특히 ‘비핵화 시간표’를 놓고 북-미간 입장차이가 팽팽한 것으로 전해진다. 2020년말까지 비핵화를 완료해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에 북한은 보다 단계적인 비핵화를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북-미회담 시기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담판이 실패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정지(整地) 작업이 완벽히 이뤄져야한다는 점이다. 실무협상에서 공동성명 문구까지 다 마련한 뒤 정상들이 화룡점정을 찍는 일반적 회담과 달리 개성 강한 두 사람의 당일 언행이 성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만큼 ‘현장 돌발 리스크’가 큰 것이다. 생화학 무기, 북한 인권 등 여러 이슈에서 돌부리에 걸릴 위험도 없지 않다. 한미 정상은 북-미 회담을 앞두고 주한미군 문제가 더 이상 불거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체제가 구축된 후 주한미군의 위상, 규모 등을 염두에 두고 주한미군 감축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북-미 회담을 앞두고 있고, 평화체제의 정착은 아직 요원한 상태인 지금 주한미군 문제가 부각되는 것은 부적절하다. 협상력을 떨어뜨리고, 동맹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 한미는 비핵화 태그매치에 나선 한 팀이다. 세밀한 호흡까지도 공유할 만큼 충실한 공조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 북-미 회담이 대타협의 장(場)이 되기 위해서는 조용하면서도 면밀하게 조언과 중재를 해주는 한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22일 한미 회담은 시간과 주제에 제한 없이 허심탄회하게 숙의하는 만남이 돼야한다.
中文
한미 정상이 22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네 번째 만남이지만 그 의미는 다른 때와 다르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열리는 마지막 ‘작전타임’ r격인 이번 회담은 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직접 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생각을 전하고, 비핵화 플랜의 마지막 리뷰를 하는 자리다.
김정은 신년사 이후 전격적으로 진행돼온 북한 비핵화 프로젝트는 클라이맥스인 북-미회담을 앞두고 외견상 순항을 해온 것으로 보인다. 회담 날짜와 장소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우리는 지금 날짜와 장소를 갖고 있다”며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북-미 회담이 조금 늦어지는 분위기인 것은 사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회담 시점과 관련해 “3, 4주 이후”라고 말한 바 있다. 금방이라도 이뤄질 것 같았던 억류 미국인 석방도 아직까지 소식이 없다. 비록 북한이 비핵화 및 ‘강화된 사찰’ 수용 의사를 밝혔다고는 해도, 비공식 실무접촉 과정에서 적잖은 이견이 돌출됐음을 시사한다. 특히 ‘비핵화 시간표’를 놓고 북-미간 입장차이가 팽팽한 것으로 전해진다. 2020년말까지 비핵화를 완료해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에 북한은 보다 단계적인 비핵화를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북-미회담 시기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담판이 실패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정지(整地) 작업이 완벽히 이뤄져야한다는 점이다. 실무협상에서 공동성명 문구까지 다 마련한 뒤 정상들이 화룡점정을 찍는 일반적 회담과 달리 개성 강한 두 사람의 당일 언행이 성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만큼 ‘현장 돌발 리스크’가 큰 것이다. 생화학 무기, 북한 인권 등 여러 이슈에서 돌부리에 걸릴 위험도 없지 않다.
한미 정상은 북-미 회담을 앞두고 주한미군 문제가 더 이상 불거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체제가 구축된 후 주한미군의 위상, 규모 등을 염두에 두고 주한미군 감축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북-미 회담을 앞두고 있고, 평화체제의 정착은 아직 요원한 상태인 지금 주한미군 문제가 부각되는 것은 부적절하다. 협상력을 떨어뜨리고, 동맹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
한미는 비핵화 태그매치에 나선 한 팀이다. 세밀한 호흡까지도 공유할 만큼 충실한 공조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 북-미 회담이 대타협의 장(場)이 되기 위해서는 조용하면서도 면밀하게 조언과 중재를 해주는 한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22일 한미 회담은 시간과 주제에 제한 없이 허심탄회하게 숙의하는 만남이 돼야한다.
熱門新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