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구팀 “2025년 ‘인공태양’ 만든다”
Posted October. 16, 2020 07:39
Updated October. 16, 2020 07:39
美연구팀 “2025년 ‘인공태양’ 만든다”.
October. 16, 2020 07:39.
by 윤신영동아사이언스기자 ashilla@donga.com.
미국 과학자들과 이들이 설립한 기업이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핵융합로를 2025년 완전 가동한다는 야심 찬 비전을 내놨다. 2025년 완공해 2035년 완전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인공태양’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보다 10년을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과 스핀오프 기업 ‘커먼웰스퓨전시스템스(CFS)’는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플라스마 물리학 저널’에 핵융합로 ‘SPARC(스파크)’ 건설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담은 7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핵융합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에서 줄어든 질량만큼 중성자가 튀어나오는데 이때 중성자가 갖고 있는 엄청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게 핵융합에너지다. 태양은 자체의 질량과 중력으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조건인 플라스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기체) 상태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태양보다 훨씬 작아 큰 중력을 얻기 힘든 지구에서는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인공적으로 만들어야 핵융합 반응이 가능하다. 초고온 플라스마를 ‘토카막’으로 불리는 도넛 형태의 핵융합 장치 내에 가두는 데 필요한 강력한 자기장을 낼 수 있는 초전도 자석이 필요하다. 핵융합로 스파크는 ‘고온 초전도 자석’을 활용한다. 절대온도(영하 273도)에 가까운 환경에서 구동되는 초전도 자석보다 비교적 높은 온도(영하 173도)에서도 구동된다. ITER 건설이 착수된 2007년에는 없었던 기술이다. 연구 논문을 발표한 마틴 그린월드 MIT 교수는 “ITER 설계에 적용된 초전도 자석이 12테슬라(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데 비해 고온 초전도 자석은 보다 작은 부피로 훨씬 강력한 21테슬라의 자기장을 달성할 수 있다”며 “부피도 초전도 자석에 비해 60∼70분의 1 정도로 작아 핵융합로 건설 비용은 물론이고 운영 효율 측면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MIT 연구진과 커먼웰스퓨전시스템스는 7개의 연구논문에서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과 계산 결과를 공개했다. 2018년 시작된 프로젝트를 현재 상태에서 제작과 건설을 진행할 경우 2025년 핵융합 반응이 실제로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진은 스파크를 통해 최소 250∼1000MW(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표준형 원자력발전소인 신월성 원전 1, 2호기의 설비용량은 각각 1000MW다. 연구진은 2025년 스파크를 본격 가동하고 스파크에서 생산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발전소를 2035년까지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中文
미국 과학자들과 이들이 설립한 기업이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핵융합로를 2025년 완전 가동한다는 야심 찬 비전을 내놨다. 2025년 완공해 2035년 완전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인공태양’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보다 10년을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과 스핀오프 기업 ‘커먼웰스퓨전시스템스(CFS)’는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플라스마 물리학 저널’에 핵융합로 ‘SPARC(스파크)’ 건설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담은 7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핵융합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에서 줄어든 질량만큼 중성자가 튀어나오는데 이때 중성자가 갖고 있는 엄청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게 핵융합에너지다.
태양은 자체의 질량과 중력으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조건인 플라스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기체) 상태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태양보다 훨씬 작아 큰 중력을 얻기 힘든 지구에서는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인공적으로 만들어야 핵융합 반응이 가능하다. 초고온 플라스마를 ‘토카막’으로 불리는 도넛 형태의 핵융합 장치 내에 가두는 데 필요한 강력한 자기장을 낼 수 있는 초전도 자석이 필요하다.
핵융합로 스파크는 ‘고온 초전도 자석’을 활용한다. 절대온도(영하 273도)에 가까운 환경에서 구동되는 초전도 자석보다 비교적 높은 온도(영하 173도)에서도 구동된다. ITER 건설이 착수된 2007년에는 없었던 기술이다.
연구 논문을 발표한 마틴 그린월드 MIT 교수는 “ITER 설계에 적용된 초전도 자석이 12테슬라(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데 비해 고온 초전도 자석은 보다 작은 부피로 훨씬 강력한 21테슬라의 자기장을 달성할 수 있다”며 “부피도 초전도 자석에 비해 60∼70분의 1 정도로 작아 핵융합로 건설 비용은 물론이고 운영 효율 측면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MIT 연구진과 커먼웰스퓨전시스템스는 7개의 연구논문에서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과 계산 결과를 공개했다. 2018년 시작된 프로젝트를 현재 상태에서 제작과 건설을 진행할 경우 2025년 핵융합 반응이 실제로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진은 스파크를 통해 최소 250∼1000MW(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표준형 원자력발전소인 신월성 원전 1, 2호기의 설비용량은 각각 1000MW다. 연구진은 2025년 스파크를 본격 가동하고 스파크에서 생산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발전소를 2035년까지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윤신영동아사이언스기자 ashilla@donga.com
熱門新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