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흔들리지 않는 초심

Posted January. 14, 2022 07:58   

Updated January. 14, 2022 07:58

中文

 벼슬 대신 은거를 선택한 삶이 오죽 별나 보였으면 이른 새벽 득달같이 찾아왔을까. 이웃 농부는 세상과의 소통을 권유하지만 시인의 ‘은거의 변(辯)’은 거침이 없다. 완곡하지만 완강하다. 여느 삶과는 결이 다른 자신의 일탈을 설득하는 데 이 정도 방어 기제는 필요했을 것이다.

 시인이 차용한 건 굴원(屈原) ‘어부사’의 대화 방식과 논리. 초나라 조정에서 축출된 굴원이 초췌한 몰골로 배회하자 어부가 이유를 묻는다. 그의 대답은 이랬다. 세상이 다 혼탁해도 나만은 결백하고, 세상이 다 취해도 나만은 깨어 있어 그 바람에 쫓겨났지요. 어부가 말한다. 성인은 외물(外物)에 구애받지 않고 세상 추이를 따르는 법, 세상이 혼탁하다면 같이 진흙탕을 휘젓고 살면 되지 않느냐고. 혼자 젠체하지 말라는 질타였다. 질타 대신 농부는 온화하게 권유하지만 시인의 다짐은 한결같다. ‘내 뜻을 거스른다면 그 어찌 미혹이 아니랴.’ 초심은 미동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