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슬픔의 과잉

Posted August. 10, 2022 07:50   

Updated August. 10, 2022 07:50

中文

 신앙심이 깊은 사람도 때로 극심한 슬픔 앞에서는 평정심을 잃는다. 세계적인 기독교 변증가인 C S 루이스도 그러했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이 죽자 신을 원망하기까지 했다. “왜 그분은 우리가 번성할 때는 사령관처럼 군림하시다가 환난의 때에는 이토록 도움 주시는 데 인색한 것인가.”

 평생 글을 써온 학자답게 그는 그러한 회의와 불신과 고통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헤아려 본 슬픔’(원제 ‘A Grief Observed’)이라는 책이 그 결과물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슬픔 앞에 정관사 A가 붙었으니 제목은 ‘헤아려 본 하나의 슬픔’이라고 해야 옳다. 슬픔의 일반론을 얘기한 것이 아니라 지극히 사적인 슬픔의 기록이라는 의미다. 그는 다른 사람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게 N W 클러크라는 가명을 사용함으로써 그것을 더 내밀한 기록으로 만들었다. 그가 저자라는 것이 알려진 것은 몇 년 후에 그가 죽고 나서였다.

 그것은 아내를 잃은 사람이 느끼는 슬픔의 기록이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살다가 오십대 후반에야 결혼했다. 아내가 아프다는 사실을 알고 한 결혼은 3년 만에 끝났다. 그러자 그는 지옥처럼 입을 벌리는 슬픔에 압도당했다. 누구도 그를 위로할 수 없었다. 그런데 묘하게도, 그가 느끼는 격정적인 슬픔과 눈물이 그를 죽은 아내와 연결해주기는커녕 오히려 떼어 놓았다. 역설적이게도 그는 아내의 죽음을 덜 슬퍼할 때 그녀를 가장 또렷이 기억했다. 너무 많이 울면 앞이 잘 안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였다. “눈물로 눈이 흐려져 있을 때는 어느 것도 똑똑히 보지 못한다.”

 그렇다고 애도하지 말라는 말은 아니다. 다만 슬픔의 과잉이 진정한 애도의 방식인지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갑작스러운 이별로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은데 어찌 감정이 과잉되지 않을까. 그러나 지나친 슬픔과 눈물, 자기연민이 마음의 눈을 가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다가가거나 사랑하는 사람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을 저해한다는 말은 주목을 요한다. 고통을 통해 얻어진 지혜의 소리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