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50년만의 가뭄에 타들어가는 남부, ‘단수 사태’는 막아야

50년만의 가뭄에 타들어가는 남부, ‘단수 사태’는 막아야

Posted March. 03, 2023 07:35   

Updated March. 03, 2023 07:35

中文

호남지역 최대 규모의 다목적댐인 전남 순천 주암댐은 광주와 전남을 먹여 살리는 젖줄이다. 광주와 고흥 나주 목포 등 전남 11개 시군의 식수원이자,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인 여수 국가산단, 철강업체들이 모인 광양 국가산단의 공업용수 공급원이기도 하다. 수려한 경관과 송광사 덕에 관광 명소이기도 한 주암댐이 50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말라가고 있다.

푸른 물줄기가 시원했던 주암댐 상류에는 요즘 쩍쩍 갈라진 흙바닥만 보인다. 주암댐 유역 수면 표면적이 2년 사이 축구장 678개 넓이만큼 줄었다. 주암댐과 인근의 장흥댐 섬진강댐까지 저수율이 예년의 절반도 안 된다. 코로나를 버텨낸 지역민들은 저수율을 알리는 ‘재난문자’에 속이 타들어간다. 아파트 수압을 떨어뜨려 물이 졸졸 나오게 하고, 주민자치회마다 마련한 벽돌을 나눠받아 양변기 수조에 넣어 물을 아낀다. 포스코 현대제철 LG화학 GS칼텍스 등 여수·광양 산단에 들어선 대규모 공장들은 가동을 잠시 멈추거나 아예 중단하는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고 있다. 오는 6월 장마철까지 ‘단수’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지난해 장마철 남부 지방에는 비 대신 폭염이 찾아왔다. 광주 전남 지역의 가뭄 일수는 281.3일로 1973년 기상 관측이래 최장이었다. 해가 바뀌어도 비소식이 없어 해갈은 요원하다. 가뭄은 부산 대구 등 영남 지역으로 확대돼 낙동강 유역의 합천댐을 비롯해 안동댐 영천댐엔 가뭄 단계가 ‘주의’로 격상됐다. 댐 수위가 정상적인 용수 공급의 한계선인 저수위에 근접한 상태다. 저수위 아래는 ‘죽은 물’이어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정화하지 않는 한 당장 먹을 물마저 부족한 물 대란이 예상된다. 여수·광양 산단은 물이 없으면 하루 수천억 원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물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저수량이 많은 다른 댐에서 물을 끌어와 저수위 도달 시기를 최대한 늦춰야 한다.

과거에는 5∼7년마다 전국에 가뭄이 찾아왔지만 10년 전부터는 국지적 가뭄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세계 도처에서 역대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 앞으로는 더 자주, 더 많은 곳에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할 전망이다. 기후변화가 아니어도 도시화와 산업화로 물 부족 문제는 만성화하고 있다. 절수지원금제와 같은 수요 절감 대책을 시행하고, 하·폐수 재이용과 해수 담수화 등 대체 수자원 발굴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