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美 반도체 규정 韓 요구 일부만 수용…피해 줄일 방안 찾아야

美 반도체 규정 韓 요구 일부만 수용…피해 줄일 방안 찾아야

Posted September. 25, 2023 09:00   

Updated September. 25, 2023 09:00

中文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은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을 확대할 수 있는 범위를 5%로 한정했다. 한국 기업들과 정부가 요청한 10%의 절반 수준이다. 중국에 공장을 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게 됐다.

이번에 확정된 반도체지원법 가드레일 조항은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은 기업이 10년 안에 중국 등 ‘우려국가’의 반도체 생산능력을 실질적으로 늘릴 경우 보조금을 전액 반환하도록 했다. ‘실질적 확장’의 기준은 첨단 반도체의 경우 기존의 5% 이상, 구형 반도체는 10%로 정해졌다. 반도체 보조금 총액은 390억 달러(약 52조 원)의 막대한 규모다.

중국 시안에서 낸드플래시 40%를 생산하는 삼성전자, 우시와 다롄에서 각각 D램 반도체 40%, 낸드플래시 20%를 만드는 SK하이닉스로선 강력한 투자제약 요인이 생겼다. 반도체 산업 특성상 설비 업그레이드를 잠깐만 멈춰도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 투자확대의 기준이 당초 ‘웨이퍼 투입량’에서 ‘생산시설 규모’로 바뀌면서 약간의 변통성이 생겼지만 현상유지 이상의 공격적 투자는 대단히 어려워졌다.

반도체 관련 미국의 대중제재 의지는 최근 더 강경해졌다. 제재 대상인 화웨이가 중국산 첨단 중앙처리장치(CPU)와 불법적 경로로 입수한 SK하이닉스 D램 반도체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내놓은 영향이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단 1센트의 지원금도 중국이 우리를 앞서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 기업들로선 공장 한 곳에 수 조 원씩 지급되는 미국의 보조금을 거부하기 어렵다. 포기할 경우 지원을 받은 대만, 미국 기업과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 그렇다고 주요 생산기지이자, 최대 반도체 소비국인 중국에서의 사업 확대를 멈추거나 축소할 수도 없다. 정해진 가드레일 안에서 최대한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피해를 줄일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다음달에도 한국 기업의 중국 반도체 사업에 영향을 줄 중요한 결정이 예정돼 있다. 미국, 네덜란드, 일본 업체가 만든 첨단 반도체 장비 대중수출 통제와 관련해 한국 기업이 인정받은 예외조치 연장여부가 판가름 난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의 투자요청에 가장 적극적으로 반응해 많은 일자리를 현지에서 창출하고 있다. 이런 점을 지렛대 삼아 더 이상의 불이익이 없도록 미국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