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 키우는 ‘칩플레이션’… 성공 사다리 복원 지속해야
Posted December. 25, 2024 07:51
Updated December. 25, 2024 07:51
불평등 키우는 ‘칩플레이션’… 성공 사다리 복원 지속해야.
December. 25, 2024 07:51.
.
이제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영어로 값이 싸다는 뜻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더해졌다. 싼 상품이 비싼 상품보다 가격이 더 크게 오르는 현상을 뜻한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나타난 모습들 중 하나다. 한국은행이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라면, 햄 등의 가공식품 가격 변화를 분석해 봤더니 저가 상품의 가격이 16.4% 뛸 때 고가 상품은 5.6% 오르는 데 그쳤다. 소득이 적을수록 저렴한 상품을 찾기 마련이다. 칩플레이션으로 인플레이션마저도 불평등하게 겪은 셈이다. 실제로 저소득층이 체감한 물가 상승률은 고소득층보다 더 컸다. 한은은 2019년 4분기(10∼12월)부터 2023년 3분기(7∼9월) 사이 소득 하위 20%의 실질적인 누적 물가 상승률이 13.0%였다고 분석했다. 소득 상위 20%의 물가 상승률보다 1.3%포인트 높다. 저소득층일수록 더 저렴한 상품을 사기 위해 더 많은 발품을 들일 가능성도 크다. ‘발품 비용’까지 더하면 저소득층의 인플레이션 부담은 더 커진다. 더 싼 상품으로 장바구니를 채우며 허리띠를 졸라매도 저소득층을 탈출하긴 어렵다. 이는 일주일 전 처음으로 발표된 국가통계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통계청의 ‘소득 이동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소득 하위 20%에 포함됐던 10명 가운데 7명은 1년이 지난 뒤에도 소득 하위 20%에 머물렀다. 2017년으로 범위를 넓혀 보면 5년 내내 저소득층에 머문 이들은 10명 중 3명꼴이었다. 2022년과 2021년을 비교했을 때 오히려 더 낮은 소득 계층으로 떨어진 사람도 17.4%나 됐다. 상황이 그러니 ‘운’에 기대는 사람들은 더 늘었다. 올 3분기 복권을 구매한 가구 비중은 같은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 윤석열 정부 경제 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역동 경제’였다. 올 7월에는 “역동 경제로 서민, 중산층 시대를 구현하겠다”며 로드맵도 내놨다. 로드맵의 3대 축 중 하나가 사회 이동성 개선이었다.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계 소득·자산 확충, 핵심 생계비 경감, 약자 보호 및 재기 지원 강화 등이 제시됐다. 상대적 빈곤율을 2028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까지 낮추겠다는 식으로 목표들도 여러 개 설정했다. ‘12·3 비상계엄’으로 현 정부의 정책들은 폐기 수순을 밟고 있다. 중장기 과제를 담았던 역동 경제 로드맵 역시 ‘윤석열표’ 정책으로 잊혀 질 게 뻔하다. 그러나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선 계층 이동을 통한 성공 사다리의 복원이 필수적이다. 이는 정치적 입장을 떠나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사실이지 싶다. 가계 소득·자산 확충을 비롯한 방법론 역시 마찬가지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온 경제 정책 공백은 내년 상반기(1∼6월)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세워둔 중장기 과제들 가운데 여야가 함께할 수 있는 지점들은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 중장기 구조 개혁마저 멈춰서면 정치적 상황이 가져온 경제적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中文
이제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영어로 값이 싸다는 뜻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더해졌다. 싼 상품이 비싼 상품보다 가격이 더 크게 오르는 현상을 뜻한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나타난 모습들 중 하나다. 한국은행이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라면, 햄 등의 가공식품 가격 변화를 분석해 봤더니 저가 상품의 가격이 16.4% 뛸 때 고가 상품은 5.6% 오르는 데 그쳤다.
소득이 적을수록 저렴한 상품을 찾기 마련이다. 칩플레이션으로 인플레이션마저도 불평등하게 겪은 셈이다. 실제로 저소득층이 체감한 물가 상승률은 고소득층보다 더 컸다. 한은은 2019년 4분기(10∼12월)부터 2023년 3분기(7∼9월) 사이 소득 하위 20%의 실질적인 누적 물가 상승률이 13.0%였다고 분석했다. 소득 상위 20%의 물가 상승률보다 1.3%포인트 높다. 저소득층일수록 더 저렴한 상품을 사기 위해 더 많은 발품을 들일 가능성도 크다. ‘발품 비용’까지 더하면 저소득층의 인플레이션 부담은 더 커진다.
더 싼 상품으로 장바구니를 채우며 허리띠를 졸라매도 저소득층을 탈출하긴 어렵다. 이는 일주일 전 처음으로 발표된 국가통계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통계청의 ‘소득 이동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소득 하위 20%에 포함됐던 10명 가운데 7명은 1년이 지난 뒤에도 소득 하위 20%에 머물렀다. 2017년으로 범위를 넓혀 보면 5년 내내 저소득층에 머문 이들은 10명 중 3명꼴이었다. 2022년과 2021년을 비교했을 때 오히려 더 낮은 소득 계층으로 떨어진 사람도 17.4%나 됐다. 상황이 그러니 ‘운’에 기대는 사람들은 더 늘었다. 올 3분기 복권을 구매한 가구 비중은 같은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
윤석열 정부 경제 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역동 경제’였다. 올 7월에는 “역동 경제로 서민, 중산층 시대를 구현하겠다”며 로드맵도 내놨다. 로드맵의 3대 축 중 하나가 사회 이동성 개선이었다. 사회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계 소득·자산 확충, 핵심 생계비 경감, 약자 보호 및 재기 지원 강화 등이 제시됐다. 상대적 빈곤율을 2028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까지 낮추겠다는 식으로 목표들도 여러 개 설정했다.
‘12·3 비상계엄’으로 현 정부의 정책들은 폐기 수순을 밟고 있다. 중장기 과제를 담았던 역동 경제 로드맵 역시 ‘윤석열표’ 정책으로 잊혀 질 게 뻔하다. 그러나 한국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선 계층 이동을 통한 성공 사다리의 복원이 필수적이다. 이는 정치적 입장을 떠나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사실이지 싶다. 가계 소득·자산 확충을 비롯한 방법론 역시 마찬가지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져온 경제 정책 공백은 내년 상반기(1∼6월)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세워둔 중장기 과제들 가운데 여야가 함께할 수 있는 지점들은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 중장기 구조 개혁마저 멈춰서면 정치적 상황이 가져온 경제적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熱門新聞